'금리단층 해소'는 옛말…P2P금융 부동산 쏠림 어쩌나

2017-07-03 15:51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윤주혜 기자 = P2P금융이 개인신용대출에서 금리단층을 해소하고 중금리 시장을 주도할 거라던 애초의 도입 취지가 무색해지고 있다.   

한국P2P금융협회에 따르면 협회 소속사의 부동산 대출(담보, PF 포함) 누적대출액은 5월 말 기준 6134억5770만원으로 전체 누적대출액의 61.96%를 차지한다. 신용대출 비중은 25.59%이고 나머지 12.45%는 부동산을 제외한 동산 담보 등이다. 

P2P 금융시장은 부동산P2P가 이끄는 추세로 기존에 개인 신용대출에 주력했던 업체들도 부동산 상품 취급에 주력하고 있다. 업권에서 개인 신용대출만 취급하는 업체는 '렌딧' 한 곳만 남았다.

이렇듯 P2P업체들이 부동산 상품에 열을 올리는 것은 투자자 모집이 수월할 뿐만 아니라 빠른 시일 내에 누적대출액을 쌓을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업권에서는 '누적대출액' 규모로 업체를 줄 세울 뿐만 아니라 투자자들이 업체의 건전성 등을 판단하는 데 있어서 누적대출액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업계 관계자는 "누적대출액 기준으로 업체 순위를 잡는 현재의 구조라면 부동산으로 계속 기울 수밖에 없다"면서 "부동산 상품이 대출금액 규모도 크고 투자기간이 짧을 뿐만 아니라 신용대출 대비 수익률도 높아서 투자자를 모으기가 쉽다"고 말했다.

이어 "일부 업체들이 상위권에 오르기 위해서 말도 안 되게 높은 수익률과 엄청난 리워드를 제공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고 지적했다. 이렇다 보니 애초 8%대의 금리로 신용대출의 금리단층을 해소하겠다던 포부는 사라지는 모양새다. '대출' 개념보다 '재테크' 수단으로의 색깔도 짙어지고 있다.

하지만 금융권에서는 P2P 업체들이 취급하는 부동산 상품이 안전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일부 업체의 수익률이 20%에 육박하는 점 등을 감안하면 대출 금리대가 대부업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비판한다.

금융권 관계자는 "일부 P2P업체의 부동산 상품의 수익률이 19~20% 가량에 달하는데 이는 금리단층 해소가 아닌 투자자만을 위한 재테크 상품이다"면서 "대출자 입장에서는 수익률 20%에 수수료 등 이것저것 따지면 금리대가 대부업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금융권 관계자는 "부동산 상품의 수익률이 20%에 육박할 만큼 높다는 사실은 반대로 생각하면 그만큼 물건이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며 "자기자본 20% 규제 등으로 인해서 저축은행이 취급할 수 없는 상품 다수가 P2P나 대부업 시장으로 흘러가고 있다. 이러한 상품들을 100% 안전하게 보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저축은행은 관련법에 따라 사업자금의 20% 이상을 자기자본으로 조달할 수 있는 차주에 한 해 PF 대출이 가능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