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P2P금융협회에 따르면 협회 소속사의 부동산 대출(담보, PF 포함) 누적대출액은 5월 말 기준 6134억5770만원으로 전체 누적대출액의 61.96%를 차지한다. 신용대출 비중은 25.59%이고 나머지 12.45%는 부동산을 제외한 동산 담보 등이다.
P2P 금융시장은 부동산P2P가 이끄는 추세로 기존에 개인 신용대출에 주력했던 업체들도 부동산 상품 취급에 주력하고 있다. 업권에서 개인 신용대출만 취급하는 업체는 '렌딧' 한 곳만 남았다.
이렇듯 P2P업체들이 부동산 상품에 열을 올리는 것은 투자자 모집이 수월할 뿐만 아니라 빠른 시일 내에 누적대출액을 쌓을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업권에서는 '누적대출액' 규모로 업체를 줄 세울 뿐만 아니라 투자자들이 업체의 건전성 등을 판단하는 데 있어서 누적대출액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이어 "일부 업체들이 상위권에 오르기 위해서 말도 안 되게 높은 수익률과 엄청난 리워드를 제공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고 지적했다. 이렇다 보니 애초 8%대의 금리로 신용대출의 금리단층을 해소하겠다던 포부는 사라지는 모양새다. '대출' 개념보다 '재테크' 수단으로의 색깔도 짙어지고 있다.
하지만 금융권에서는 P2P 업체들이 취급하는 부동산 상품이 안전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일부 업체의 수익률이 20%에 육박하는 점 등을 감안하면 대출 금리대가 대부업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비판한다.
금융권 관계자는 "일부 P2P업체의 부동산 상품의 수익률이 19~20% 가량에 달하는데 이는 금리단층 해소가 아닌 투자자만을 위한 재테크 상품이다"면서 "대출자 입장에서는 수익률 20%에 수수료 등 이것저것 따지면 금리대가 대부업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금융권 관계자는 "부동산 상품의 수익률이 20%에 육박할 만큼 높다는 사실은 반대로 생각하면 그만큼 물건이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며 "자기자본 20% 규제 등으로 인해서 저축은행이 취급할 수 없는 상품 다수가 P2P나 대부업 시장으로 흘러가고 있다. 이러한 상품들을 100% 안전하게 보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저축은행은 관련법에 따라 사업자금의 20% 이상을 자기자본으로 조달할 수 있는 차주에 한 해 PF 대출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