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원승일 기자 =해외투자기관, 국책연구기관들이 잇달아 한국 경제성장률을 상향 조정한 데는 수출의 힘이 크다.
최근 수출은 5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3월 들어 수출액은 489억 달러, 우리나라 돈 55조원 수준으로 2년 3개월 만의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도체, 석유화학 등 주력 품목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13.7% 늘어나는 등 수출 증가세를 견인하는 모습이다.
국내 경제의 발목을 잡아왔던 소비와 투자 등 내수도 모처럼 활기를 띄고 있다.
소비를 뜻하는 소매판매액지수는 2월 들어 전달 보다 3.2% 오르면서 4개월 만에 반등했다. 소비자심리지수도 지난달 96.7로 2월(94.4)보다 2.3포인트 올라 두 달 연속 개선됐다. 지난해 10월(102.0) 이후 5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정부가 지난 11일 "수출이 늘면서 생산·투자의 개선 흐름이 이어지고 부진했던 소비도 반등했다"며 “국내 경제 회복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고 밝힌 것도 이 때문이다.
문제는 이 같은 경제 회복세가 지속될지 여부는 장담할 수 없다는 점이다.
미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 무역주의에 따른 통상압력, 북한 미사일 도발로 인한 ‘한반도 위기설' 등 대외적 불확실성이 여전히 남아 있기 때문이다.
대내적으로도 민간소비 회복세가 미약해 ‘반짝’ 증가에 그칠 가능성이 큰데다 고용도 건설업 일용직 등 질 낮은 단기 일자리가 대부분을 차지해 안심할 단계는 아니라는 지적이다.
실제 좋은 일자리가 몰려 있는 제조업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8만3000명 줄며 지난해 7월 이후 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특히 2분기 들어 국내 제조업체의 체감경기는 11분기 연속 기준치(100)를 밑돌정도로 악화되고 있다.
전체 취업자 수는 늘었지만 치솟은 청년 실업률은 좀처럼 내려갈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올해 1월 8.2%였던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2월 12.3%, 3월 11.3% 등으로 10%대를 훌쩍 넘겼다.
대외 의존도가 큰 우리나라로서는 대외적 불확실성이 커질 경우 시장이 다시 요동칠 수 있고, 1300조원이 넘는 가계부채도 언제든 우리 경제를 위협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