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유진희 기자 =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를 조사해온 박영수 특별검사팀의 수사종료가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삼성 컨트롤타워 재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삼성이 지난해 12월 특검의 종료 이후 그룹의 컨트롤타워인 미래전략실을 해체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기 때문이다. 특검은 오는 28일 수사 종료를 앞두고 기간의 연장을 요청했지만 황교안 대통령 권한 대행 측이 27일 오전 이를 거부했다. 미전실의 해체가 현실화된 것이다.
이로 인해 ‘오너가문-미전실-계열사 사장단’이라는 세 축으로 이뤄졌던 삼성의 컨트롤타워가 향후 어떤 방식으로 재편될지에 대해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현재 제 기능을 하고 있지 못하는 오너가문-미전실을 대체할 조직의 역할이 삼성의 미래를 좌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시간이 얼마 없는 만큼 미전실이 해체되면 핵심 계열사로 그 기능이 이전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그동안 미전실이 맡아왔던 계열사 간 업무조정, 인수합병(M&A), 채용 등이 삼성전자, 삼성물산, 삼성생명 등의 핵심 계열사로 분산될 것이라는 의견이다. 그룹 공통의 사안에 대해서는 계열사 사장단 회의 등을 이뤄질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체제는 이 부회장의 구속 문제가 마무리될 때까지 단기적으로 운영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삼성의 최종 컨트롤타워는 결국 지주회사 전환을 통해 만들어질 것이라는 주장이다. 실제로 지난해 10월 삼성전자 주주총회에서 등기이사에 이름을 올린 이 부회장은 ‘지주회사 전환’ 로드맵을 제시한 바 있다.
일반적으로 자회사에 대한 지배는 물론, 육성·투자를 목적으로 설립되는 지주회사는 현재 미전실이 담당하는 기능을 합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현재 미전실이 자회사 경영에 관여하는 것은 법적 근거가 없다.
게다가 삼성전자 지분율이 낮은 이 부회장 입장에서 안정적인 경영권 승계를 위해 지주회사 전환은 필수적으로 여겨진다. 현재 삼성전자는 외국인 지분율의 절반이 넘기 때문에 안정적인 경영권 확보를 위해 이 부회장의 지분율을 높여야 하는 상태이다. 삼성전자가 지주회사와 사업회사로 나뉘게 되면 지주회사는 자사주를 통해 사업회사에 대한 지분율을 크게 확대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김상조 한성대 교수는 “삼성은 국내 계열사만 60개이며 400개의 계열사가 있어 이를 총괄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가 반드시 요구된다”며 “장기적으로 미전실의 기능을 지주회사 쪽으로 옮기는 조치를 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