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11/23/20161123090846274554.jpg)
KT는 전국망이 상용화된 소물인터넷 LTE-M과 GiGA IoT 플랫폼을 활용한 ‘콜드체인’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23일 밝혔다. ‘콜드 체인’서비스는 온도에 민감한 제품을 상차부터 하차단계까지 배송상태와 품질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해주는 서비스로써 혈액, 검체(검사에 필요한 재료), 농수산물 등 선별포장이 필요한 고가 물류시장에 적합하다. 사진은 모델들이 KT의 IoT 디바이스와 콜드체인 서비스를 소개하고 있는 모습. (사진제공=KT)
아주경제 한준호 기자 = KT는 전국망이 상용화된 소물인터넷 전용망 LTE-M과 GiGA IoT 플랫폼을 활용한 ‘콜드체인’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23일 밝혔다.
콜드체인 서비스는 온도에 민감한 제품을 상차부터 하차단계까지 배송상태와 품질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해주는 서비스로 혈액, 검체(검사에 필요한 재료), 농수산물 등 선별 포장이 필요한 고가 물류시장에 적합하다.
콜드체인 서비스의 기반이 되는 IoT 디바이스는 산업용 컴퓨터 제조 및 시스템 개발 전문기업인 삼미 정보시스템에서 개발했다. RFID 등 태그기반으로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디바이스가 아닌 검체박스 외관에 LTE-M 디바이스를 내장시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KT와 삼미 정보시스템은 LTE-M 디바이스를 기존 휴대폰 수준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수 개월간의 필드테스트와 단말검증테스트를 거쳤으며, LTE-M 디바이스는 위치보고, 온도보고 등 배송상태 점검을 위한 빈번한 사용에도 불구하고 한번 충전으로 약 1주일 가량 사용이 가능한 저전력 설계를 구현했다.
콜드체인 서비스는 검체 운송 전문기업인 신일배송을 통해 처음으로 상용화 됐으며, 검체와 혈액, 의료장비 등 온도에 민감한 물류의 안전한 운송관리를 맡는다. KT는 추가기능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국내 약 30여 의료재단에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김준근 KT GiGA IoT사업단장은 “KT의 검증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검체, 활어운송, 원예농작물 등 콜드체인 서비스가 필요한 영역에 점진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