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문은주 기자 = 지구 온난화 대책의 일환인 파리 기후변화협약(파리협정)이 11월 4일부터 발효될 것으로 보인다. 포스트 교토의정서로 통하는 이번 파리협정의 성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ABC 등 외신이 5일(현지시간)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성명을 통해 "파리협정 발효에 필요한 요구 사항을 충족한 만큼 내달 4일 발효가 가능해졌다"며 "파리협정에 서명한 모든 국가에 축하와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고 말했다.
캐나다 하원에서도 파리협정 관련 비준동의안이 의결되면서 캐나다에서도 비준 절차가 끝났다. 온실가스 최대 배출국인 미국과 중국도 이미 지난달 비준을 마친 상태다. 유엔 기후변화협약(UNFCCC)은 홈페이지를 통해 "73개국이 파리기후변화협정을 비준한 만큼 30일 이내에 발효될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이에 따라 다음달 모로코에서 열릴 예정인 유엔의 지구 온난화 대책 회의(COP 22)에 앞서 파리협정이 발효될 수 있게 됐다.
지난해 파리협정 협상 당시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55%를 책임지는 국가 최소 55개국이 비준해야 협정이 발효된다는 단서 조항을 달았다. 이번에 비준을 마친 73개국의 가스 배출량은 세계 전체의 56.75%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NBC 등 외신이 5일(현지시간)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이날 성명을 통해 "지구를 지키기 위한 역사적인 날"이라며 "파리협정 내용을 이행하면 지구 보호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기후 변화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미국이 앞장서야 한다고 생각했다"며 "대통령이 된 지 8년 만에 목표를 이뤘다"고 강조했다. 이는 온난화 대책에 대한 임기말 오바마 정권의 실적으로 강조하려는 발언으로 풀이된다. 기후변화 협약은 오바마 정권의 핵심 과제 중 하나였기 때문이다.
지난해 12월 전 세계 195개국은 프랑스 파리에서 2020년 이후의 지구 온난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기후협약 합의문에 서명한 뒤 각국이 국내 비준 절차를 밟아왔다. 파리협정은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을 2도 아래로 낮추자는 게 기본 골자다.
지난 1997년 채택된 교토의정서 이후 18년 만에 새로운 기후변화체제가 출범한 만큼 큰 관심을 모았다. 파리협정은 일부 선진국만을 대상으로 했던 교토의정서와는 달리 전 세계가 기후 문제에 대해 책임을 분담한다는 점에서 그 효력에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