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성과연봉제 수(數)싸움…이러다 수(水)싸움될라

2016-09-28 18:25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문지훈 기자 = 7만5000명 vs 1만8000여명.

지난 23일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 총파업 참여 인원에 대한 금융노조와 금융당국 측의 집계 결과다. 통상 노조 집회의 경우 주최자인 노조 측의 집계가 크지만 이번에는 금융당국 집계와 간극이 지나치게 크다.

노사 양측의 이 같은 '수싸움'은 파업 이전에도 펼쳐졌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최근 리서치 설문조사 결과를 언급하며 국민의 71.1%가 성과연봉제에 찬성한다고 밝혔다. 반면 금융노조는 국민의 62.9%가 '정부가 성과연봉제를 성급하게 추진하고 있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이처럼 설문조사 결과와 총파업 참여율에 대한 양측의 집계 결과 차이만큼 해석도 제각각이다. 금융노조는 파업을 '성공적'으로 평가하며 성과연봉제 도입을 반대하는 여론이 많다는 입장이다. 반면 사측에서는 일부 대형 은행들이 정상 영업한 점과 파업 참여율이 저조한 점을 이유로 성과연봉제 도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며 도입 명분으로 삼으려 하고 있다.

설문조사 결과나 파업 참여율 같은 수치는 이해 당사자 또는 사안에 대한 여론을 대변하는 만큼 의미 있는 자료이긴 하다. 그러나 이를 도입 또는 반대 명분으로 활용하는 것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무엇보다 금융당국과 사측이 성과연봉제를 도입해야 하는 근거와 방안을 바탕으로 설득에 나서지 않고 있는 점이 아쉬운 대목이다.

금융노조가 성과연봉제를 두고 '저성과자 해고제'가 될 것으로 우려하는 상황에서 금융당국은 "금융환경이 변했다", "해외 선진국에서도 성과연봉제를 적용하고 있다"며 무작정 도입해야 한다는 식이면 지금같은 입장차는 여전할 수밖에 없다.

노조 역시 협상 테이블조차 거부한다면 여론의 비난을 피하기 어려울 수밖에 없다.

금융권에서 그동안 우려했던 대로 저금리·저성장 기조가 고착화돼 금융환경 역시 어려워진 데 대해서는 누구나 공감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핀테크 등의 발달로 금융권을 둘러싼 시장 환경 역시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고 있다.

일방적이고 일괄적인 성과연봉제 도입이 아니라 우려하는 부분에 대해 속 시원히 긁어주는 소통과 협상이 필요한 시점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