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윤은숙 기자 =아베의 '대승'으로 끝난 참의원 선거의 결과에 대해 주요 외신들도 깊은 관심을 보였다. 미국을 비롯한 서구 언론은 물론 중국 언론들도 일본의 '개헌가능성'에 초점을 맞췄다.
미국의 CNN 방송은 아베 총리가 개헌을 통해 일본의 군사력의 활용 범위를 확장하려고 한다고 지적하면서 "(이번 선거결과로) 개헌 논의에 탄력이 붙을 경우 아시아의 지정 학적 변화를 초래할 수있다"고 내다봤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최근 브렉시트를 결정한 영국이나, 트럼프를 지지하는 미국과 달리 일본은 일반국민들이 정치적인 분노가 높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WSJ은 그 이유로 외국인이 많지 않은 폐쇄적인 노동시장과 외국보다는 적은 최고임원과 사원 간의 임금격차를 꼽았다.
한편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FT)는 안보를 중시하기 때문에 자민당에 투표한 사람과 개헌에 반대하기 위해 처음으로 공산당에 투표한 자민당 지지자들의 이야기를 소개하면서, 개헌을 둘러싸고 갈라진 일본의 모습을 조명했다.
중국 언론도 개헌의 움직임 주시하고 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 자매지 환구시보는 일본 지식인의 발언을 인용해 "개헌논의가 전례없는 새로운 단계에 들어간다"고 지적했다. 또 "아시아의 이웃 나라들은 일본 군국주의의 부활에 대한 경계를 강화하지 않을 수 없다"고 논평했다.
신화통신은 11일 "일본 국민들이 개헌에 대한 관심이 높지 않은 데다 아베 노믹스의 실패 등으로 일본 경제가 좋지 못한 상황이다"라면서 "개헌 세력들은 무엇을 어떻게 수정할 것인지에 대한 의견도 통일돼 있지 않기때문에 개헌이 즉각적으로 이뤄질 수는 없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대만 연합보는 인터넷판에서 "헌법 개정을 위한 3 분의 2의 벽을 넘다"라고 보도했으며, 대만 애플 데일리 인터넷판은 커지는 헌법개정의 우려와 함께 한국의 동향 등을 보도하기도 했다. 대만에서는 5월에 대만 독립 지향을 가진 민주진보당 정권이 들어섰으며, 독립을 경계하는 중국과의 관계가 후퇴하고 있다. 때문에 동아시아 안보와 일본의 헌법개정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때 보다도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