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지난 23일 기준 상장지수펀드(ETF)를 제외한 설정액 10억원 이상 국내 주식형 펀드의 연초 이후 수익률은 평균 -0.71%로 집계됐다.
유형별로는 K200인덱스펀드가 2.49%의 수익률로 성적이 양호했다.
배당주식펀드도 0.20%의 수익을 올렸으나 일반주식펀드는 -2.02%의 저조한 수익률을 기록했다.
해외 주식형 펀드도 평균 -7.35%의 수익률을 나타냈다.
작년 상반기에 선전한 헬스케어펀드 수익률이 -15.16%로 가장 저조했다.
일본펀드(-14.58%)와 중국펀드(-13.07%)도 고전을 면치 못했다.
해외 헬스케어펀드도 올해 상반기 제약·바이오주 부진으로 평가손실을 냈다.
반면 원자재 가격 상승 덕분에 유일하게 금(金)이나 러시아·브라질 펀드만 올 상반기에 월등한 성과를 거뒀다.
금을 비롯한 기초소재 펀드는 연초 이후 34.88%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원자재와 관련이 있는 브라질펀드(26.56%), 러시아펀드(17.87%), 남미신흥국펀드(16.11%)도 높은 성과를 냈다.
국내외 채권형 펀드도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을 올렸다.
초저금리 기조로 국내와 해외채권형 펀드는 연초 이후 각각 1.54%, 4.44%의 수익률을 올려 주식형 펀드보다 우수한 성과를 냈다.
국내 채권형 펀드 중에선 중기채권 펀드가 2.53%의 수익률로 성적이 가장 양호했다. 해외채권형 펀드에서는 남미신흥국채권(13.25%)의 선전이 돋보였다.
투자자금의 쏠림 현상도 두드러졌다.
올해 국내 채권형 펀드에 순유입된 투자자금은 3조1225억원에 달했다. 같은 기간 국내 주식형 펀드에서 2조4533억원이 이탈한 것과 대조적이다.
해외 채권형 펀드로도 1634억원의 자금이 몰렸다. 해외 주식형 펀드는 중국펀드의 인기로 1565억원의 순유입을 기록했다.
상반기 자금유입 상위 10개 펀드 모두 채권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금이 가장 많이 몰린 펀드는 '삼성코리아단기채권자 1[채권]_Ci'로 올해 7000억원에 육박하는 투자금이 몰렸다.
이어 '한국투자e단기채(채권)(C)'(5767억원), '한화단기국공채(채권) 종류C'(3943억원), '미래에셋글로벌다이나믹플러스자 1(채권)종류A'(3089억원) 순으로 자금이 유입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