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종호 기자 = “우리는 서로를 경쟁사라고 부르지 않아요. 동종사(?)라고 보는 게 맞을 겁니다. 서로가 대부분 형, 동생하는 사이잖아요. 워낙 단합이 잘되니 담합도 쉽게 이뤄지는 것 같아요.(웃음)”
얼마 전 만난 한 건설사 관계자 입에서 나온 말이다. 그는 농담으로 가볍게 던진 말이었겠으나, 잊을 때쯤 또다시 터지는 건설사 담합 소식을 접해야 하는 기자 입장에서는 그리 썩 유쾌하지만은 않은 발언이었다.
업계에 제대로 된 경쟁이 없다 보니 결국 담합만 남았다. 지난해 8월 광복 70주년 특별사면으로 입찰담합 관련 행정제재가 해제된 건설사들은 공정 경쟁과 자정 실천을 약속하며 국민 앞에 고개를 숙였다. 담합의 뿌리를 뽑겠다는 선언이었다. 연내 2000억원 규모의 사회공익재단도 설립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이 모두 빈말이었다. 건설사들의 입찰담합 기사는 여전히 한 달에도 수차례씩 신문 지면을 장식한다. 담합에 있어서는 대형, 중소형 건설사를 가리지 않는다. 약속했던 사회공익자금도 10개월이 흐른 지금까지 기약도 없이 ‘모금 중’이라는 말뿐이다. 건설업계의 반성을 전제로 특별사면 특혜를 준 정부와 이를 믿었던 국민이 또다시 뒤통수를 맞은 셈이다.
이달 18일은 ‘건설의 날’이다. 건설인 사기 진작과 화합, 건설업계 발전 촉진을 위해 매년 건설회관에서 기념식을 갖는다. 올해는 기념식 대신 자정대회를 여는 것이 맞을 듯 싶다. 경쟁 없는 건설업계의 깊은 반성이 필요한 시점이기 때문이다. 안 그래도 잘되는 건설업계 단합을 위해 1000여명이 매년 한자리에 모일 필요는 없지 않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