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20년 수익보장" 도민 돈버는 태양광사업 추진

2016-04-28 14:43
  • 글자크기 설정

초기 시설자금 부담 없이 20년간 수익보장되는 비즈니스모델

▲항공사진으로 본 '태양광발전소' 전경


아주경제 진순현 기자= 2030년까지 제주를 ‘탄소 없는 섬’으로 실현하기 위한 주민 중심의 태양광발전사업이 드라이브를 건다.

제주도(지사 원희룡)는 28일 전국 지자체 최초로 주민 주도의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을 개발하고 ‘도민 소득으로 이어지는 태양광발전 보급사업 기본계획’을 확정 발표했다.
지금까지 관이 주도한 태양광발전사업에서 벗어나 주민이 직접 초기 시설자금 부담이 없고 수익이 보장되는 자금대출․전력판매․시설공사 시스템을 마련했다.

아울러 태양광발전 보급사업 기본계획에서는 2030년 이전까지 일반사업자용을 포함한 태양광발전 1411㎿ 보급을 목표로 △감귤과수원 폐원 예정지 △마을 소유의 공유지 △주택 및 공공시설 등을 활용한 태양광발전시설을 보급해 주민의 소득으로 연결되는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먼저, 감귤폐원지 등을 활용한 태양광발전 보급사업은 2030까지 580농가 511ha 340㎿ 보급목표로 ‘농민이 전기농사를 지어 소득을 창출’할 수 있는 안정적 수익기반을 새롭게 마련해 추진해 나간다.

이번 사업은 감귤의 품질과 가격 하락, 고령농가의 증가 등 감귤산업의 어려운 현실을 감안해 고령농가, 부적지 감귤 과수원, 비영농 토지 등을 우선 선별해 추진할 계획이다.

선정된 농가는 감귤을 대체한 ‘태양광발전 전기농사'를 짓고, 고정가격으로 20년간 전력을 판매한 순이익을 얻게 함으로써 감귤산업을 1차 농업분야가 아닌 2차 산업으로 보완·대체하는 획기적인 사례가 될 전망이다. 도는 이번 사업을 위해 별도의 사업공고를 통해 농가 및 태양광발전 시설 사업자를 공모하며, 고정가격으로 20년간 전력을 구매할 발전공기업과 장기저리의 시설자금을 조달할 금융기관도 참여시킬 계획이다.

마을 소유의 공유지 등을 활용한 태양광발전 보급사업을 추진한다. 2030까지 566농가 187ha 138㎿ 보급목표로 마을은 투자비를 장기저리로 조달해 부담없이 발전사업을 추진해 재정자립에 도움이 되도록 감귤과수원 폐원지 활용과 동일한 사업모델로 추진된다.

현재 추진되고 있는 주택지원사업 및 공공시설활용 사업을 보완·확대 추진한다. 2030까지 17만4000가구 580㎿ 보급목표로 주민 누구나 주택의 옥상, 베란다를 이용해 태양광발전으로 에너지생산, 전기차 보급촉진은 물론 소규모 전기판매 까지도 가능하도록 전기차용을 포함한 주택태양광 지원을 9kW까지 확대키로 했다. 또한 가정의 전기요금 절감을 위해 미니태양광 보급도 추진한다.

이와 함께 제주에너지공사는 공용주차장, 종합운동장 스탠드 및 풍력발전단지 부지를 이용해 2030년까지 53㎿를 개발해 풍력 뿐만 아니라 태양광발전을 통한 사업 다각화를 도모할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태양광발전 보급사업이 본격화되는 2030년에 이르면 신재생에너지에 의한 예상 총발전량 1만2981GWh중 14%인 1853GWh를 생산하게 된다” 며 “도내 총 에너지소비 예상량 1223만7000toe중 풍력발전+태양광발전으로 전력소비량(260만7000toe) 100%와 석유류 소비량의 50.5%(452만8000toe)를 대체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toe(ton of oil equivalent) : ㎘, t, ㎾ 등 여러가지 단위로 표시되는 각종 에너지원들을 원유 1t이 발열하는 칼로리를 기준으로 표준화한 단위다. 휘발유 1t은 0.8 toe, 경유 1t은 0.905 toe, 전기 1㎿h는 0.23 toe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