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의료지도' 심정지환자 현장회복률 3.1배↑

2016-04-20 14:23
  • 글자크기 설정

[자료=보건복지부 제공]


아주경제 조현미 기자 = 구급대원이 응급실 의료진의 지도를 받아 심정지 환자를 치료하면 현장 회복률이 3배 이상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와 국립중앙의료원은 지난해 '응급실-구급대원간 스마트 의료지도 시범사업' 운영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스마트 의료지도란 심정지 응급환자에 대해 응급실 의사가 웨어러블(입을 수 있는) 기기나 스마트폰으로 실시간 영상을 보면서 현장에 있는 구급대원의 처치를 지도하는 것이다.

복지부는 작년 8~12월 사이에 전국 9개 응급의료센터와 19개 소방관서에서 시범사업을 진행했다.

이 기간 직접 의료지도가 필요한 970건의 심정지 사례 중 630건이 스마트 의료지도로 현장전문소생술이 이뤄졌다.

스마트 의료지도 결과 병원 도착 이전의 환자 자발순환 회복률이 기존 5.9%에서 20.6%로 3.1배 올라갔다.

일상생활을 할 수 있는 상태로 퇴원하는 신경학적 호전 회복률은 3.8%에서 6.0% 1.6배가량 높아졌다. 

국립의료원은 21일 서울 을지로 의료원에서 '119구급대원 등 응급구조사 스마트 의료지도를 통한 응급의료 선진화 심포지엄'을 열고 이런 결과를 자세히 설명할 예정이다.

한편 올해 스마트 의료지도 시범사업은 20개 병원과 29개 소방관서에서 이뤄진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