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내용은 당시 하버드 대학에 연수 중이던 반기문 참사관이 하버드대 교수로부터 입수해 주미 한국대사관에 알렸다고 유 장관은 전문에 적었다.
전문에 언급된 '반 참사관'은 당시 외무부 소속으로 하버드대 케네디 행정대학원에서 수학하던 현재의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을 언급한 것이다.
주미 대사관은 나흘 뒤인 1월 11일 이 장관에게 보낸 전문에서 '김대중 안전귀국 보장 운동'이 당시 전두환 대통령 앞으로 보낸 서한을 첨부했다.
'김대중 안전귀국 보장 운동'은 서한에서 "민주주의와 인권문제에 대한 헌신적 노력으로 세계에서 존경을 받는 김대중이 귀국할 시 안전과 자유를 부여하는 것은 필요불가결한 요소일 것"이라며 "국내적으로 긴장을 완화하고 신뢰를 구축하려는 노력은 모든 국가에서 대단히 중요한 일이다. 우리는 이런 노력이 귀국의 1985년 국회의원 선거, 1986년 아시안 게임, 1988년 올림픽 게임과 대통령 선거 준비에 필요한 사회적 화합을 성취하는 데 중대한 요소라고 믿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한국 정부 당국자들은 미측 인사들과의 면담에서 김 전 대통령에 대해 "교활하고 믿지 못할 인물"(1월 29일 외무부 보고), "간교한 인물"(2월 9일 주한미국대사관 1등서기관과 외무부 미주국장 면담) 등 인신공격성 발언도 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정부 또한 김대중 전 대통령의 귀국 후 신변 처리 문제가 자국 여론에 미칠 영향을 주시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폴 월포위츠 당시 국무부 동아태차관보는 1월 4일 유병현 대사와 만나 "김(대중)이 귀국 후 재수감되면 미국 정부는 의회로부터 대단히 거센 압력과 언론의 성화를 면치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월포위츠 차관보는 국무부가 김 전 대통령을 면담할 경우 "선거 전 귀국이 현재의 한국 내 정치발전, 민주발전에 저해 요인이 될 것이라는 우려를 전달할 것"이라는 입장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