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워싱턴특파원 박요셉 기자 = 미국의 자동차 기술 전문가, 안전 관련 단체들은 물론 자동차 제조사들까지 최근 열린 미 도로교통안전국(NHTSA) 주최 세미나에서 연방정부의 자율주행차 정책 추진에 대해 속도 조절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 자리에서 미 자동차 업계 관계자들은 자동차의 모든 운전 조작이 운전자 없이도 가능한 자율주행차가 업계의 미래인 것은 분명하지만 당장 실제 도로에서 이들 차량의 주행이 시급한 것은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다.
세계 자동차 제조사 협회 폴 스컬리언 위원은 미 정부의 전통적인 규제 관련 정책 처리 과정에 소요되는 기간을 고려할 때 이번 계획은 너무 짧은 기간에 추진되고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스컬리언 위원은 “안전 규제 중에는 충분한 시간을 두고 다양하게 검토해야 하는 것들이 많다”면서 정부의 자율주행차 관련 안전 기준 마련 역시 급변하는 기술 수준에 맞춘 충분한 연구 검토부터 이루어져야 한다”고 밝혔다.
업계의 이러한 주장에 대해 미 도로교통안전국(NHTSA) 마크 로즈카인드 국장은 “현재 판매되고 있는 ‘테슬라’ 차량의 ‘오토파일럿’ 기능처럼 자율주행 기술을 이용한 차량이 이미 도로 위를 달리고 있어 더 미룰 수 없는 상황”이라고 반박했다.
자동차 기술 및 안전 전문가들은 최근 개발 중인 자율주행차 기술이 크게 발젼했지만 도로상에서 자주 마주치는 몇 가지 상황에 대한 대응에 한계가 분명하다고 지적했다.
주차장, 건물 진출입로, 그리고 도로 곳곳의 차선 표시가 제대로 되지 않은 곳에서 차량이 올바른 진로를 인식하기 어려우며, 기상 상태가 나쁜 경우에도 차량 센서의 감지 기능이 방해를 받는다.
또한 아직까지 자율주행차는 차량 정체 등 상황에서 경찰의 수신호를 따르지 못하며, 신호등 위치나 형태가 바뀌는 등 교통 통제 상황의 변화에 적절한 대응이 어렵다.
미 전문 엔지니어 협회 마크 골든 이사는 이와 같은 과제들이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자율주행차 보급을 성급하게 추진하는 것은 위험하고 비실용적며, 대중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뉴욕 소재 싱크탱크인 ‘오르빗 시티 랩’의 제임스 나일즈 대표도는 연방정부의 자율주행차 규제 및 기준에는 정부 당국의 예상하지 못한 방법으로 자율주행차 기술을 악용하려는 이들에 대한 대책이 전무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