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울산연안·광양만에 연안오염총량관리 도입 추진

2016-04-17 12:22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배군득 기자 = 해양수산부는 마산만·시화호·부산 수영만 등 3개 해역에서 시행중인 연안오염총량관리를 울산연안(2017년), 광양만(2019년)으로 확대 시행하고 대상해역 지정·관리 기준을 마련하는 등 제도정비를 추진한다고 17일 밝혔다.

연안오염총량관리제(이하 총량제)는 대상해역 목표수질을 설정하고 목표 달성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오염물질 배출농도와 유입총량을 동시에 관리하는 방식으로 2008년 마산만을 시작으로 2013년 시화호, 지난해 부산 수영만에 도입돼 시행중인 제도다.

지난 2008년 국내 최초로 총량제를 도입한 마산만은 수질개선은 물론 바지락, 우럭 등 어족자원이 풍부해지고 멸종위기종인 붉은발말똥게와 수달 서식이 확인되는 등 생태계 건강성도 회복되고 있다.

방조제 건설(1994년 1월) 후 한때 ‘죽음의 호수‘로 불렸던 시화호도 2013년 총량제를 도입해 지난해 COD 2.3mg/L로(목표 3.3mg/L) 수질개선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멸종위기종인 금개구리, 맹꽁이 등이 서식하는 갈대습지공원은 연간 25만명 이상이 찾는 생태관광 명소로 탈바꿈했다.

해수부는 이러한 총량제 성과를 확산시키고 환경개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올해 총량관리사업 및 울산연안·광양만 총량제 도입 기초조사, 제도개선방안 마련 등에 총 39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울산연안과 광양만은 대규모 산업단지가 위치한 해역으로 이번 기초조사를 통해 주요 오염원을 조사하고 해수 및 퇴적물, 생태계를 정밀 분석해 수질개선 목표를 설정하는 등 총량제를 시행하기 위한 계획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특별관리해역 지정 기준을 설정하고 목표수질 달성 여부에 따라 지정 해제 또는 지정범위 조정 등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등 관련 제도를 정비해 환경개선을 위한 핵심 정책수단으로 발전시킨다는 방침이다.

송상근 해양수산부 해양환경정책관은 “연안오염총량관리제는 선제적이고 사전 예방적인 관리방식”이라며 “앞으로 총량제를 확대 시행하고 해역별 맞춤형 관리를 통해 해양환경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