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치 영화에서나 볼 수 있을 법한 상황이었다. 국가 중요시설 최상급으로 분류되는 정부서울청사의 보안이 너무나도 쉽게 뚫렸다는 점에서놀라움을 금할 수 없었다.
더군다나 사건이 일어난 지 이틀이 지난 뒤 경찰에 신고를 했고 '늑장대응'이라는 여론의 비판이 두려워 비공개 수사를 의뢰한 사실은 더욱 기가 찰 노릇이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보안 시스템 문제만이 아니다. 공무원의 안일한 보안의식과 기강 해이에 있다고 보여진다. 정부는 테러 방지를 위해 그동안 보안 강화를 거듭 강조하면서도 공무원의 보안 교육에는 태만했던 것으로 이번 사건이 제대로 증명하는 듯하다.
이번 사건이 발생한 인사혁신처 뿐 아니라 모든 공공청사는 이번 사건을 남의 나라 얘기로 여겨서는 안된다. 어느 청사건 이 같은 사건이 일어나지 않을 거라고 아무도 장담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번 일을 거울삼아 공공청사 관계자들의 보안의식부터 철저하게 바뀌어야 한다. 나사 풀린 사람들을 제때 조이지 않으면 언제 또 이 같은 사고가 발생할지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