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문지훈 기자 = "올해 미국 경제는 지난해와 유사한 성장세가 예상되며, 중국 경제도 정상화 과정을 거치겠지만 성장세는 둔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로 인해 한국은 수출 경로를 통해 1차적 충격을 입고, 글로벌 금융불안이 발생할 경우 2차적 충격도 받을 수 있습니다."
이일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장은 세계 경제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올해도 어려운 시기를 보낼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 경제의 회복세가 미약하고,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 경제도 여전히 부진을 면치 못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이러한 요인들이 올해 세계 경제에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미국이 통화정책을 정상화할 경우 그동안 과다한 부채와 과잉 유동성 자금으로 유지됐던 소비가 동력을 상실할 수 있다"며 "이 경우 지속 가능한 성장세가 꺾이고 세계 경제에 침체를 불러오거나 금융 불안을 야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의 경우 수출 경로를 통해 1차적 충격을 겪고 금융불안 발생 시 2차적 충격도 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중국의 경우 6.5% 이상의 성장세를 유지하기 위해 여러 정책을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소비 성장세가 10% 미만으로 하락할 경우 중국 정부가 과잉 대응에 나서면서 단기적으로는 중국경제의 불확실성이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 원장은 "이 같은 위험 요인이 현실화되면 예상치 못한 자본 흐름이 나타날 수 있다"며 "우리나라 역시 갑작스런 자본 유출로 국내 금융시장의 불안감도 고조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미국의 정책금리 인상에 대해 이 원장은 "미국의 경기회복이 전제돼야 한다"며 "하지만 수출 등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은 예상보다 작을 것이다"고 내다봤다.
지난 16일(현지시간)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0.50%로 유지키로 결정했다. 특히 올해 4차례로 예상됐던 추가 인상은 2차례로 줄어든 상황이다.
그는 "미국 경제가 통화정책의 효과 없이 자체적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세에 돌입할 경우 이자율을 정상화하는 게 중장기적 성장에 도움이 된다"며 "이 경우 한국 실물 경제에 미칠 영향은 크지 않지만 한은 기준금리 상승 압력으로 작용해 내수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는 있다"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