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제(解題)는 책의 저자, 내용, 체재 등에 대해 간단히 요약 정리한 것이다. 이 책은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 조선시대에 발간된 고사십이집‧농사직설(농서), 구급간이방‧향약집성방(의서), 삼재도회‧광재물보(유서) 등 옛 문헌 94종에 수록된 우리 생물의 옛 이름과 생물을 활용한 전통지식을 요약 정리해 수록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이 책을 통해 잊혀져가는 선조들의 생물자원과 관련된 전통지식을 현대 사회에서 다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번 책에서 가장 눈여겨 볼만한 전통지식은 이형상(1653~1733년)의 남환박물에서 소개된 ‘설사를 치료하는데 쓴다’는 보리실(菩提實)과 관련된 기록이다.
국립생물자원관과 정종우 교수팀은 남환박물에 서술된 보리실 모양새와 열매 결실시기, 지리적인 분포 등을 분석해 이 식물이 보리장나무를 일컫는 것으로 추정했다.
현재 제주지역에서 보리장나무 열매가 간식거리로만 여겨지는 것으로 비춰볼 때 이는 보리장나무 열매를 설사 치료제로 쓰던 옛 전통지식이 단절된 것으로 보인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보리장나무 사촌격인 보리수나무와 보리밥나무도 설사 치료제로 쓰일 수 있는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 영릉향(零陵香)은 기침, 치통 등을 치료하는 약용식물로 세종실록지리지(1452~1454년), 신증동국여지승람(1530년), 탐라지(1653년), 남환박물(1704년) 등에 조선시대 제주지역 특산물로 기록돼 있다.
현재 한의학에서는 영릉향을 중국 원산 앵초과 참좁쌀풀속 식물인 리시마치아로 인식하고 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옛 문헌 속에서 언급된 영릉향이 중국에서 들여와 제주에서 재배한 식물이기 보다는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섬까치수염을 일컫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오경희 국립생물자원관 유용생물활용과장은 “우리나라 옛 문헌에 나타난 생물의 이용에 관한 전통지식은 생물주권의 근거가 될 뿐만 아니라 무한한 활용 가치를 재조명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발굴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