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내수 회복세 지속", "수출 개선세 미약", "미국 금리인상과 중국 경기둔화 등 대외 리스크 여전", "국제유가 하락 지속", "4대 부문 구조개혁 지속", "가계부채·기업부채 악화" 등등
내년 한국경제를 둘러싼 키워드들이다.
정부 및 각 기관, 국내외 경제연구소 등은 대부분 이 키워드를 조합해 2016년도 한국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내놨다.
우선 정부는 지난 16일 발표한 '2016년 경제정책방향'에서 내년도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3.1%로 전망했다.
이는 기존 전망치 3.3%에서 0.2% 포인트 낮아진 것으로 불확실한 대외경제 여건을 반영했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정부는 지난 6월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면서 내년 성장률을 3.5%로 제시했다가 석 달 만에 0.2%포인트 내린 바 있다.
최근 반년 새 0.2%포인트씩 두 번이나 낮춰 잡았다. 그러나 여전히 민간 경제연구소 전망치에 비한다면 핑크빛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0%로 예상했다. 이마저도 대외 경제 여건이 나빠져 세계 성장률이 올해 수준인 3.1%에 그친다면 2.6%에 그칠 것이라고 단서를 달았다.
이 밖에 대내외 기관들이 전망한 우리 경제성장률을 살펴보면 국제통화기금(IMF) 3.2%, 한국은행 3.2%,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1%, 골드만삭스 3.3%, 뱅크오브 아메리카메릴린치 3.1% 등이 3%대의 전망을 내놨다.
반면 모건스탠리(2.4%), 현대경제연구원(2.8%), LG경제연구원(2.7%), 한국경제연구원(2.6%) 등은 2%대로 내다봤다.
2.4%에서 3.3%까지 다양해 같은 경제 여건 속 분석이 갈리고 있는 모습이다.
정부는 내수 중심의 회복세로 올해보다 성장률이 개선될 것으로 봤다.
내수는 저금리와 저유가 등에 따른 민간소비의 모멘텀이 유지되는 가운데 투자가 양호한 흐름을 보이면서 성장에 기여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올해 내내 부진했던 수출은 내년에도 중국 성장세 약화 등으로 회복세가 제한되지만, 기저효과 등으로 순수출의 성장기여도가 소폭 플러스로 전환될 것으로 봤다.
정은보 기획재정부 차관보는 "저유가와 확장적 거시정책 효과 지속, 소비·투자 촉진 등의 정책효과로 내년 우리나라는 올해보다 개선된 3.1% 성장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정부의 이 같은 설명이 와닿지 않는 이유는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 오차가 무려 1.1%에 달하기 때문이다.
정부는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7%로 대폭 낮췄다. 이는 1년 전 발표한 '2015년 경제정책방향'에서 성장률 전망치로 제시한 3.8%보다 1.1%포인트나 낮아진 것이다.
글로벌 투자은행(IB)이나 민간 연구기관들은 일찌감치 올해 한국 경제가 2%대 성장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정부는 지난 10월까지도 계속해서 3%대 성장을 이루겠다고 강조하다가 결국 2%대의 '저성장'을 인정한 셈이 됐다.
기재부 관계자는 "올해 경제에 대해 내수를 중심으로 성장·고용 등 주요 지표가 개선되고 있지만 수출 부진이 성장 동력을 제한했다"라며 "최근 수출 부진은 경기적인 요인 외에 중국의 자급률을 높이면서 글로벌 밸류 체인(국제 분업)이 약해진 데 따른 구조적 현상"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