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잡음도 컸다. 애초에 국민의 자발적 참여로 기금을 마련해 청년층의 일자리 창출을 돕자는 취지로 시작됐지만, 괜한 실적경쟁으로 이어졌다. 일부 은행에서는 은행 직원들에게 청년희망펀드 공익신탁 가입을 강요했다는 논란이 일기도 했다. 희망 펀드 사업계획서에 명시한 사업 목적 역시 명확하지 않아 비판을 받았다. 돈을 모으는데만 혈안이 됐지, 돈을 어디에 얼마나 쓸지는 빠졌다. '관치펀드', '삥펀드'라는 오명이 괜히 생긴게 아니었다.
최근 한 취업포털이 내놓은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청년희망펀드의 수혜 대상자인 2030세대 절반은 펀드에 대해 들어보지 못했다고 한다. 또 청년 취업난 해소에 도움도 되지 않을 것이라는 부정적인 답변도 절반이나 됐다. 기업이나 은행이 채용공고를 내면 즉시 이슈가 되는 것과 대비되는 모양새다.
흔쾌히 몇 백억원을 펀드금액으로 내면서 정작 직접 고용은 외면하고 있다. 기업이든 은행이든 차라리 그 돈으로 청년들을 고용했다면 어땠을까. 고용창출 책임을 청년희망펀드 가입실적으로 면피하려는 의도로 해석해도 무리가 없을 듯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