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송종호 기자 = 대기업 부채의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한국금융구원이 발간한 ‘기업부채 현황 및 기업구조조정의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현재 민간기업 부채는 1253조원 규모다.
이는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82.8%로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말(83.6%)과 비교해 소폭 낮아졌다. 한 기업의 부채 비율은 2009년 95.1%에서 지난해 79.2%로 개선됐고 연체율도 지난 9월 말 현재 0.86%로 안정적이다.
그러나 전체 기업에서 한계기업(이자보상비율이 3년 연속 100% 미만인 기업)의 비중이 커지고 특히 대기업 부채의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보고서를 작성한 이명활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에 따르면 대기업 중 한계기업 비중은 2009년 9.3%에서 지난해 14.8%로 급증했다. 대기업 한계기업의 부채 비율은 지난해 말 231.1%까지 올라갔다.
이 연구위원은 “우리나라의 기업 부채 문제는 이제 규모의 문제라기보다 양극화의 심화”라고 분석했다.
그는 “일반 한계기업의 구조조정에 대해선 엄격한 신용위험 평가를 토대로 부실징후기업을 선정하고 구조조정을 적극적으로 추진한 은행이 경영평가에서 불이익을 받지 않게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워크아웃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한 일몰시한, 법원 파산부의 인력 확충 및 전문성 제고, 신용경색을 줄일 회사채 시장의 안정 대책을 제안했다.
29일 한국금융구원이 발간한 ‘기업부채 현황 및 기업구조조정의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현재 민간기업 부채는 1253조원 규모다.
이는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82.8%로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말(83.6%)과 비교해 소폭 낮아졌다. 한 기업의 부채 비율은 2009년 95.1%에서 지난해 79.2%로 개선됐고 연체율도 지난 9월 말 현재 0.86%로 안정적이다.
그러나 전체 기업에서 한계기업(이자보상비율이 3년 연속 100% 미만인 기업)의 비중이 커지고 특히 대기업 부채의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위원은 “우리나라의 기업 부채 문제는 이제 규모의 문제라기보다 양극화의 심화”라고 분석했다.
그는 “일반 한계기업의 구조조정에 대해선 엄격한 신용위험 평가를 토대로 부실징후기업을 선정하고 구조조정을 적극적으로 추진한 은행이 경영평가에서 불이익을 받지 않게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워크아웃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한 일몰시한, 법원 파산부의 인력 확충 및 전문성 제고, 신용경색을 줄일 회사채 시장의 안정 대책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