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전카드 '만지작' SK텔레콤, CJ헬로비전 합병 당위성 ‘강조'

2015-11-24 15:20
  • 글자크기 설정

[SK텔레콤]

 
아주경제 정광연 기자 =CJ헬로비전 인수‧합병 반대 움직임에 무대응으로 일관하던 SK텔레콤이 칼을 빼들었다. 이르면 11월말로 예상되는 인가신청서 접수를 앞두고 합병 당위성을 적극적으로 알린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통신과 방송의 결합에 따른 ‘공룡’ 탄생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팽배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KT와 LG유플러스, 일부 학계 및 시민단체 등 이른바 ‘反 SK텔레콤’ 진영 공세에 특별한 대응을 보이지 않던 SK텔레콤이 적극적인 ‘반격’으로 전략을 수정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SK텔레콤은 25일, 우상호‧정호준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주최하는 ‘방통‧통신 융합에 따른 제도 개선 토론회’에 참석해 KT 및 LG유플러스 관계자와 토론을 진행할 예정이다. SK텔레콤이 CJ헬로비전 인수 발표 이후 공식 석상에서 입장을 밝히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이번 토론회가 야당 의원들이 주최한 토론회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SK텔레콤을 시장 지배자로 규정, 각종 사업 확대에 우려의 시선을 보냈던 야권이 만든 자리에 과감하게 참석한다는 것은 그만큼 SK텔레콤이 이번 인수 합병에 대해 확신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에 대해 SK텔레콤 관계자는 “국회에서 요청이 있었고 좋은 기회라고 판단해서 참석하게 된 것일 뿐, 다른 의도는 없다”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그러나 이런 ‘반격’이 기대만큼의 성과를 거둘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무엇보다 통신과 방송의 결합에 따른 시장 독과점 및 지배력 전이 현상이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KT와 LG유플러스가 ‘보신주의’가 아닌, 학계와 시민단체의 지원 사격 속에서 시장 질서 확립 차원을 앞세우며 SK텔레콤을 압박하고 있다는 점도 부담스럽다.

가장 큰 문제는 역시 결합상품이다. 이동통신과 초고속인터넷, IPTV와 케이블TV까지 아우르는 결합상품 등장할 경우 불공정 경쟁 심화 논란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SK텔레콤은 이 부분에 대해 여전히 “합리적이고 용납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는 기본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SK텔레콤이 CJ헬로비전 인수‧합병에 대한 법적 검토를 끝냈다고 해도 여론의 반대가 심할 경우 미래부 인가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며 “잡음을 줄이기 위해서는 ‘독점 대 反독점’이라는 프레임을 깰 수 있는 세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