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전문가, 中 경제성장률 이미 4%대로 추락…중국 정부가 GDP를 부풀린다고 의혹

2015-11-13 11:31
  • 글자크기 설정
 

[사진= 차이나 이코노믹 왓치 트위터 ]


아주경제 윤주혜 기자 =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의심의 눈초리를 받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외신은 일부 이코노미스트들이 중국 정부가 GDP를 부풀린다고 의심하며 중국의 GDP 성장률을 4-5%대로 분석한다고 최근 보도했다.

미국 경제조사기관 콘퍼런스보드의 이코노미스트 케네스 골드스타인은 지난 12일(현지시간) 한국상공회의소가 주최한 세미나에 강사로 참석해 “중국의 작년 경제 성장률은 4%였다”며 “이미 중국은 4% 성장률 시대에 접어들었다”고 말했다. 
골드스타인의 예측은 중국 정부의 발표와는 큰 차이가 있다. 중국은 올해 성장률 목표를 7%로 설정했고 3분기 성장률이 6.9%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와 관련해 골드스타인은 중국 정부가 성장률을 산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자료와는 다른 통계를 사용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중국 전문가인 해리 우의 자료를 활용한 결과이며, 해리 우의 자료가 더 진실에 가깝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서는 중국 정부가 GDP 성장률을 의도적으로 부풀린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중국 정부가 지난 2분기 GDP 성장률이 7%를 기록했다고 발표했을 당시, 한 유럽 자산 운용 회사의 매니저는 “중국 정부가 GDP 성장률을 선전도구로 사용한다”고 비난했다.

특히, 경제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가 GDP 성장률을 산정할 때 사용하는 데이터의 객관성에 의구심을 나타냈다. 스위스의 프라이빗뱅킹(PB)인 롬바르오디에의 수석 투자 담당자 장 루이스 나카무라는 “커창 지수 데이터를 분석하면 오늘날 중국 성장률은 7%가 아닌 5%에 가깝다”고 말했다.

커창 지수는 중국의 리커창 총리가 지난 2007년 GDP가 신뢰성이 떨어진다며 경제 흐름을 판단하기 위해 제시한 지수다. 중국의 전력 소모량·철도 운송량·은행 대출 증가율 3개 지표에 가중치를 더해 만든다.

일부 전문가는 중국 정부가 GDP 성장률을 의도적으로 부풀리고 인플레이션을 과소평가한다고 비판했다. 콘퍼런스보드의 이코노미스트 해리 우는 “중국이 2008년과 2012년에 각각 4.7퍼센트와 4.1퍼센트 성장했는데 중국 정부는 각각 9.8퍼센트, 9.7퍼센트로 성장률을 발표했다”며 “중국 당국은 경제둔화 시기에 성장률을 과장하고 외부 충격의 영향력은 깎아 내리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