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월 한반도 습지 ‘남생이·담비’ 멸종위기종 돌아왔다

2015-11-08 12:00
  • 글자크기 설정

국립환경과학원, 보호지역 지정 후 멸종위기종 3배 증가

생물다양성 증가 뚜렷…습지보호지역 지정 성과

[사진제공=환경부]


아주경제 배군득 기자 = 강원도 영월군 한반도 습지가 지난 2012년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이후 수달, 담비, 층층둥글레 등 멸종위기 야생생물이 12종이나 발견돼 지정 전인 2009년에 비해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환경과학원이 지난해 1월부터 12월까지 한반도 습지를 대상으로 ‘습지보호지역 정밀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곳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12종(I급 1종, II급 11종)을 포함해 육상과 수생태계에 걸쳐 다양한 희귀 동·식물 총 871종이 살고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
발견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은 수달이며 Ⅱ급은 백부자, 층층둥글레, 남생이, 구렁이, 묵납자루, 가는돌고기, 돌상어, 흰목물떼새, 삵, 담비, 무산쇠족제비 등이다.

군별로 분류를 하면 식물 418종, 육상곤충 288종, 조류 59종, 저서성무척추동물 52종, 어류 28종, 양서·파충류 16종, 포유류 10종으로 조사됐다.

특히 습지보호지역 지정 전인 2009년에 이 곳 멸종위기 야생생물은 I급 수달, II급 묵납자루, 돌상어, 붉은배새매 등 4종에 불과했다.

지난 2009년 당시 야생생물은 387종이 조사됐으며 분류군별로 식물 228종, 육상곤충 69종, 조류 26종, 저서성무척추동물 24종, 어류 24종, 양서·파충류 7종, 포유류 9종이 확인됐다.

국립환경과학원은 한반도 습지 생물다양성의 증가세가 뚜렷한 이유에 대해 습지보호지역 지정이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보고 있다.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면 ‘습지보전법’에 따라 출입과 채취 등 행위가 제한돼 야생생물의 안정적인 서식처가 조성될 수 있다.

김태성 국립습지센터 연구관은 “습지보호지역 지정으로 사람의 출입과 채취 등의 행위가 제한되고 체계적인 보호지역 관리가 이루어진 결과 생물다양성이 2배 이상 증가했다”고 말했다.

국립환경과학원의 ‘습지보호지역 정밀조사’는 습지보호지역을 5년 주기로 지형, 수리·수문, 식생, 동·식물상 등 총 12개 분야로 나눠 실시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