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역사교과서 내년 9월경 집필 완료하고 3개월간 심의

2015-11-03 11:00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한선 기자 = 역사교과서 국정화가 확정되면서 교육부는 역사교육지원팀을 역사교육 추진단으로 개편하고 세종시로 이전을 한다.

국정 역사 교과서 개발을 담당하게 된 국사편찬위원회는 이달 중 집필진을 구성해 내년 9월경까지 집필을 마무리하고 교육부의 심의 과정에 넘긴다는 계획이다.

교육부는 10월부터 3개월의 심의와 수정 과정을 거쳐 내년 1~2월 교과서 제작과 배포에 나서게 된다.

기존에 국정 교과서 초등용으로 현장실험본 적용을 포함해 11개월 가량이 걸리던 수정 심의 과정에서 중고등용으로 현장실험본을 적용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오류를 잡아내고 흐름을 수정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시간이 부족해 과연 정부가 밝히고 있는 균형이 잡히고 내용이 올바르게 수정이 된 교과서가 만들어질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우려가 크다.

내용에 대해 논의하고 수정할 수 있는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해 집필진이 의견을 모으는 데 걸리는 시간도 빠듯하다는 지적이다.

기존 재미없는 국정교과서와 달리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재미있는 교과서를 제작하기 위해 풍부한 자료를 생산하겠다고 교육부가 밝히고 있지만 국사편찬위의 인력이 투입되더라도 시간부족과 함께 현장 교사 출신들이 아니어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우려도 나온다.

교육부는 36명의 집필진이 대거 투입되고 국사편찬위의 인력 지원이 이뤄져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밝히고 있지만 학자들의 집필 거부가 확산되면서 이들을 섭외하는 것부터 어려움에 처해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된다.

보수 성향 학자까지 국정 역사 교과서를 만들려면 제대로 해야 하며 준비가 되지 않았으면 안하는 것이 좋다는 견해를 밝히고 있다.

이명희 공주대 교수는 “교학사 교과서를 쓴 사람으로 비판에 대해 되돌아보고 있으며 급하게 만든 것도 있고 충분히 연구하지 않은 상태에서 쓴 부분도 있어 설득력 있게 서술을 못하고 오해를 부를만한 표현을 쓰기도 했다”며 “현재 검정 교과서를 쓴 학자들도 문제가 있다는 지적에 귀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교과서를 급하게 만들다보면 성향을 떠나 누구나 실수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2017년 교과서를 만들겠다는 계획에 대해서도 시간을 가지고 좋은 교과서를 만들기 위해 제작기한을 뒤로 미룰 필요성도 있다고 밝혔다.

이처럼 야당에서 친일 독재 미화라고 비판하고 있는 교학사 교과서를 집필했던 학자까지 국정 교과서를 급하게 추진하고 있는 데 대해 부정적이라는 입장을 밝히면서 정치권의 정쟁 대상으로 삼기보다는 학계에서 자유롭게 경쟁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앞으로 집필기준과 집필진 공개, 웹전시, 수정 등을 놓고 고비고비마다 논란이 커질 것으로 예상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학자들간에 역사에 대한 해석에서 여러 스펙트럼을 보이는 것이 당연하며 서로 배울 것은 배우는 과정에서 경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지적이다.

국정화에 반대하고 있는 역사학자들 중에서는 뉴라이트 학자들을 전면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새로운 역사해석을 배울 필요가 있다는 얘기도 나오는 만큼 정치권이 개입해 정쟁화하기 보다는 역사학자들과 교사 등 전문가에게 맡기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지적이다.

이처럼 학자들간에는 정쟁 보다는 서로의 견해에 대해 존중하는 분위기가 있는데도 정치권이 뛰어들어 전쟁을 치르고 있는 것이 과연 바람직한가라는 목소리가 높다.

김태웅 서울대 역사교육과 교수는 “역사를 다루고 있는 학자들이 서로 논의하면 되는 것을 정치권이 개입해 정쟁화하고 있어 앞으로 걱정이 크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