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쌍용양회 매각에 채권단측이 강공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채권단은 당시 대주주인 일본의 태평양시멘트가 우선매수청구권 행사를 통해 채권단이 보유중인 지분 매입을 요구했으나 지체되자 임시주총을 통해 채권단 우호인물로 구성된 사내‧외이사를 대거 선임했다. 결국 이사회 의결로 채권단 지분은 공개매각으로 돌아서게 됐으며 태평양시멘트는 2대주주로 내려앉게 됐다.
채권단은 쌍용양회 보유주식 3705만1792주(46.14%)를 공개 경쟁입찰 방식으로 매각하기로 공고하고 이달 29일까지 인수 의향서(LOI)를 받고 있다. 하지만 태평양시멘트측은 우선매수청구권 행사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는 소송을 제기한 상태다.
현재 채권단의 강경한 매각 시도는 자칫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가 크다. 우선 태평양시멘트와 채권단간 법적공방이 장기화 될 경우 매각은 더욱 미궁으로 빠질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관련업계에서는 채권단이 지분을 시장에 내놓는다 해도 법적분쟁 및 2대주주와의 마찰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매수자를 찾기 어렵다고 판단, 무리수를 두고 있다고 말한다.
산업계에서는 동부제철을 비롯, 채권단이 지분을 보유중인 기업들 상당수는 우리나라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기업들로 경쟁력을 갖췄으나 업황부진이 장기화 되면서 자의가 아닌 타의에 의해 불황에 빠지게 됐다고 말한다. 즉 업황개선이 이뤄질 경우 회생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실제 쌍용양회의 경우 지난 2000년 심각한 유동성 겪으며 부실기업으로 낙인 찍힌 바 있으나 일본의 태평양시멘트로부터 외자유치를 받아 회생에 성공했고, 현재 안정적인 매출상승을 이끌어 가고 있다. 현재 채권단의 밀어붙이기 행보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높은 점도 이 때문이다. 기업의 생리를 무시한 채 채권회수에만 집중한다면 오히려 기업에 혼선만 주게 돼 경쟁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것이다.
한 채권단 지분보유 기업 관계자는 "얼토당토 않게 느껴지는 매각관련 이야기가 계속 나올수록 현장직 인원들은 동요할 수 밖에 없다"면서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라도 불필요한 이슈는 만들이 않는게 기업 입장에서 좋다"고 말했다.
현재 산업계는 채권단의 구조조정과 밀어붙이기식 행보로 인해 기업과 관련업계가 부담으로 돌아올까 노심초사중이다. 대표적으로 한 업체는 채권단으로부터 인수제안서를 받고 상당히 난처한 입장을 나타낸 것으로 전해졌다. 어느정도 시너지가 나오지 않는 상황에서 무턱대고 인수에 나섰다가 회사 경영상 타격은 물론, 제2의 포스코플렌텍과 같이 뒷 이야기가 나오지 말라는 법이 없다는 것이다.
반대로 업계는 기업이 자발적으로 인수합병 시장에 참여할 수 있도록 시장형성을 채권단이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기업의 인수합병과 소매점의 재고물건 처리는 둘 다 같은 생리라는 것이다.
한 산업계 관계자는 “현재 채권단이 지분을 보유중인 기업들 중 매물로 나온 기업들의 업황이 좋지 않다. 즉 시너지를 얻기 위한 기업들도 영업활동이 크게 위축된 상태”라면서 “만일 매각을 위해서라면 채권단이 기본 방침인 당장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보다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M&A 시장에 참가할 수 있도록 가격을 낮추거나 향후 업황 개선시 추가로 비용을 지불받는 옵션조항 등을 만드는 등 시장을 만드는 것이 급선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