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한국·중국·일본의 통화·재정정책을 이끄는 경제 수장들이 금융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해 주요 정책 결정을 신중하게 조정하고 소통을 명확히 하기로 뜻을 모았다.
세계 경제의 새로운 위협요인에는 적극적으로 대응하기로 했다.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등 한·중·일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는 8일(현지시각) 오후 페루 리마에서 만나 정책 공조 방안을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세계 경제와 금융시장 상황에 불확실성이 크다는 점에 공감하면서 불확실성을 상시 모니터링하고 파급 효과는 철저히 분석·평가하기로 했다.
이번 회의는 미국의 금리 인상 예고와 중국의 경기 둔화 등 급변하는 세계경제 여건 속에서 열린 만큼 한·중·일 경제 수장들이 어떤 대응 방안을 논의할지 관심을 모았다.
한·중·일은 3국 간 협력채널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나가는 한편 지속가능한 경기 회복을 위해 적극적 거시정책과 구조개혁 정책을 강화하기로 했다.
아울러 아시아 지역 내 금융안정성을 높이려고 추진하고 있는 지역금융안정망인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다자화기금(CMIM)'과 '아세안+3 거시경제조사기구(AMRO)'의 국제기구화 완료를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했다.
지역금융안전망은 지리적으로 가까운 나라들이 금융위기에 대비한 공동 재원을 조성해 운영하는 것을 말한다.
한·중·일은 내년에도 주요 20개국(G20)과 아세안+3 회의에서 3국이 주도적 역할을 해 아시아 경제와 세계 경제의 안정적 성장을 위해 기여하기로 합의했다.
이 자리에서 최경환 부총리는 노사정 대타협 진행 경과 등 노동·공공·금융·교육의 4대 부문 구조개혁 추진 상황을 소개하면서 계속해서 교육부문 등 다른 분야 구조개혁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최 부총리는 한국 정부가 추진 중인 동북아개발은행이 동북아 지역 내 긴장 완화와 경제 발전을 주도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하면서 중국과 일본의 적극적인 지지를 요청했다.
동북아개발은행은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해 '드레스덴 구상'을 통해 북한이 핵개발을 완전히 포기하면 대북 지원 기구로 설립하겠다고 제안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