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에 따르면 한·러 양국은 1990년 9월 30일 수교를 맺은 후 수출은 86배, 수입은 209배 증가하였으며 수출입을 합한 무역액은 134배 증가했다. 2014년 러시아는 한국의 12위 수출상대국이며 11위의 수입상대국이 되었다.
수교 초기에는 의류 및 섬유 등 노동집약적 품목의 수출에서 2000년 들어서는 유무선통신기기 등 정보통신기술(ICT) 제품, 2014년에는 자동차 및 부품 등으로 수출 품목의 고도화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한국의 러시아 투자는 전체 해외 투자의 0.4%에 불과한 22억4000만 달러이며, 러시아의 한국에 대한 투자는 이보다 더 적은 1억9000만 달러에 불과하다. 대러시아 수출은 중간재 비중이 높은 수출 구조(41.6%)이지만 투자를 통한 수출 증대의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지지 못하며 수출 증가의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둘째, 권역별·소득별 차별화된 진출 전략이 필요하다며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등 유럽러시아 지역은 러시아 전체 인구의 82%가 밀집되어 있으며 월평균 임금의 거의 100%를 소진하는 등 소득 대비 지출의 비중이 높아 소비시장으로서 적극 공략해야 한다고 밝혔다. 반면 인구는 적으나 자원이 풍부하고 우리와 지리적으로 인접한 극동러시아는 푸틴정부의 신동방정책 추진과 맞물려 인프라 건설 및 투자가 확대될 전망이다.
셋째, 의료분야의 새로운 협력과 인적 교류 확대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늘어나는 러시아 의료관광객의 수요에 맞춰 특화된 종합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러시아내 한국형 진단센터 건립을 통해 의료기기 등 관련 산업의 동반진출과 의료진 연수 등 인적 교류의 확대에도 나서야 한다. 또한 숫자적으로만 증가한 현재의 유학생 교류를 질적으로 강화하고 친한파를 육성하기 위한 유학-생활-취업이 연계된 통합적 시스템 구축이 필요한 시점이다.
마지막으로 조속한 시일내 러시아와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통해 통상환경 개선과 무역량 확대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이를 통해 러시아 시장뿐만 아니라 중앙아시아 시장까지 진출하는 교두보로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홍정화 국제무역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수교 25주년을 맞은 한·러 양국은 서로에 대해 기존의 시각을 바꾸어야 할 때”라며 “투자를 통해 관련 산업이 수출할 수 있는 선순환 고리를 만들어야 하며, FTA 체결을 통해 러시아뿐만 아니라 중앙아시아 시장까지 진출할 수 있도록 정부와 기업의 지속적이고도 중장기적 전략이 필요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