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입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해도 이익이 제대로 나지 않는 서비스가 있다.
통신사 3사가 제공하는 유료방송, IPTV 이야기다. IPTV는 벌써 가입자 수가 1100만을 넘어섰다. 케이블가입자 규모에 근접해 가고 있지만 이상하게도 아직 적자를 벗어났다는 소식은 들려오지 않는다. 대규모 인력채용이나 서비스투자가 있었던 것도 아닌데 이상한 일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최근 대국민 담화에서 청년 일자리 등 고용문제 해결과 문화융성 기반을 갖추는데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문화융성은 문화콘텐츠가 합리적으로 소비되고, 이 재원이 다시 콘텐츠 생산에 재투자되는 선순환 생태계가 조성돼야 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양질의 일자리는 저절로 생겨난다. 우리 스스로 콘텐츠에 대한 가치인식을 제대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지금 유료방송 산업은 콘텐츠 이용료를 제대로 지불하지 못할 정도로 황폐화됐다. 케이블에 이어 위성방송, IPTV까지 다양한 사업자가 경쟁하지만 그만큼 산업 규모를 키우지 못했다. 그나마 유료방송 콘텐츠 분야는 매출액이나 종사자 등 규모가 지속 성장하고 있지만 이 역시 ‘문화융성’을 기대할만한 수준에는 한참 미치지 못하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유료방송 산업을 받치고 있는 플랫폼의 부실화다.
플랫폼이 건전경쟁으로 성장을 도모해야 콘텐츠가 함께 발전할 수 있다. 하지만 지금 유료방송 플랫폼은 이동통신 시장 보호를 위한 소모품이 되고 있다. 방송은 황폐화되고 이동통신은 풍성해지는 불균형이 심각하다.
문제 해결을 위해 최근 방통위와 미래부가 방송통신 결합상품 제도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특정 상품에 대한 과도한 할인을 규제하는 것은 약탈적 경쟁 방지를 위해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사업자들이 방송통신 양 산업에 균형 있게 투자하고 키워갈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에는 아직 과제가 많이 남아 있다.
문화융성의 길로 산업을 이끌어 가려면 콘텐츠를 중심에 둔 근본적인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방송 끼워팔기’가 계속될 수 있다는 우려, 이동통신시장 지배력이 결합상품을 통해 다른 서비스의 경쟁을 저해할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연구와 대책이 필요하다.
2조 달러에 가까운 세계 콘텐츠시장을 보면 영화나 애니메이션, 게임, 음악 등 여러 문화콘텐츠에 비해 방송콘텐츠의 비중이 훨씬 크다. 특히 남미와 아시아 시장이 콘텐츠산업 성장을 이끄는 다크호스로 떠오르고 있다.
지금 방송콘텐츠를 육성하고, 세계시장 경쟁 대열에 합류하지 못한다면 기회는 쉽게 오지 않을 것이다. 콘텐츠의 가치, 제대로 인정하고 지원해야 문화융성을 이룰 수 있다. 해법은 플랫폼의 공정경쟁과 서비스 균형발전에서부터 찾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