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상직 장관, "올해 스마트공장 '900개 보급'…추경 등 1500억 '신속투입'"

2015-07-27 14:08
  • 글자크기 설정

산업부, 올해 연말까지 스마트공장 900개 新보급

올해 하반기 1500억원 신속한 투자 '중기지원'

27일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경기도 화성시에 소재한 에이엔텍을 방문하고 기업 소개 및 스마트공장 구축 등에 관해 설명을 청취하고 있다,[사진=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아주경제 이규하 기자 =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스마트 공장 신규 보급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윤상직 장관은 27일 경기도 화성시 소재 스마트공장 구축 기업인 에이엔텍을 방문한 자리에서 "추가경정 예산 등 1500억원을 신속하게 투자해 올 연말까지 900개의 스마트 공장을 신규로 보급하겠다"고 밝혔다.  
세라믹 제품 등을 생산하는 에이엔텍은 주조업체로 작년 시범사업을 통해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바 있다. 이후 생산정보 수집과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해지면서 납기 20% 단축, 원가 15% 절감, 설비 가동률 45% 증가 등의 성과를 기록하고 있다.

윤상직 장관은 이날 “엔저 등 수출여건 악화로 어려운 상황에서 스마트공장 구축으로 의미있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며 중소기업의 제조혁신 노력을 독려했다.

산업부는 엔저 등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올 하반기 스마트공장 900개를 보급할 계획이다. 정부가 추진하는 스마트공장 확산 목표는 올해 1200개사로 2017년 4000개사, 2020년 1만개사다.

추가확보한 재원인 추가경정예산 40억원, 지역투자보조금 100억원은 내달 초부터 즉시 투입될 예정이다. 특히 올해에는 정부예산(450억원), 대기업(100억원), 중소기업 자체투자(500억원), 산업은행 정책융자(500억원) 등 1500억원이 투자된다.

아울러 현재 경북(삼성)·광주(현대) 등 2곳의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진행 중인 스마트공장 지원사업도 하반기부터는 지역 수요에 맞춰 전국 혁신센터로 확대할 예정이다.

윤 장관은 “스마트공장을 어렵고 복잡하게 인식하지 않도록 홍보하고, 표준‧인증 등을 통해 맞춤형 단계별 성장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부는 스마트공장 기술개발 로드맵, 국제 표준화전략, 공급산업육성 계획 등 스마트공장 고도화를 위해 산업생택계 육성 전략도 내놓을 계획이다.

장남식 에이엔텍 대표는 “공학도 출신으로 스마트공장 구축에 대해 어느 정도 확신이 있었지만 실제 성과를 체감하고 보니 만족도가 더욱 높다”면서 더 고도화된 스마트공장 구축을 시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