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가 인문계 전공자들을 위해 내놓은 취업 촉진 방안의 내용이다. 극심한 취업난을 겪고 있는 인문계 재학·졸업생을 대상으로 복수 전공과 이공계 융합 교육을 확대하는 내용을 주요 골자로 담고 있다.
정부가 이 같은 인문계 고용촉진 대책을 내놓은 것은 최근 '인문계 졸업자의 90%가 논다'는 '인구론' 등 심각한 인문계 학생들의 실업난을 풀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실제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4년제 대학 인문계 졸업자는 전체 졸업자의 59%를 차지하고 있지만, 취업률은 45.5%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는 공대(65.6%)나 의·약대(72.1%) 취업률보다 훨씬 낮은 수치다.
하지만 정부의 바람대로 인문계 학생들이 이를 얼마나 활용할지, 취업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대학들은 과거부터 인문계 학생들을 위해 직업 매칭 등 프로그램을 꾸준히 실시해 왔지만 별다른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업들 역시 이공계 전공자에 한 해 채용 기준을 설정하고 있다. 설사 이공계 분야를 수료한 인문계 전공자가 있더라도 지원할 수 있는 분야는 영업직, 기획, 홍보 등에 국한될 수 밖에 없는 현실이다.
정부가 내놓은 대책이 탁상 행정에 입각한 정책이라는 비판이 나오는 대목이다. 오히려 이런 지엽적이고 땜질식인 처방은 실의에 빠진 구직 청년들을 더욱 절망하게 할 뿐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줄곧 "창조경제는 인문학적 상상력이 중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삶의 가치와 의미를 가르치는 인문학의 가치를 살려야 한다고 강조한 셈이다.
하지만 정부는 말로만 인문계 전공자들을 살린다고 구호만 외칠 뿐 재탕, 삼탕 식의 정책만 내놓고 있다. 인문학 교육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최대한 살리고, 기업·대학과의 변화를 고려한 과감한 정책을 인문계 학생들은 바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