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한국고용정보원이 분석한 '대졸 청년층 취업 영향 요인의 변동과 의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연구결과에 따르면 2012년 졸업한 남성 8744명 중 취업경험자는 79.5%로 나타났다. 같은해 졸업한 여성 8059명 중 78%도 취업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여성 대졸자의 취업을 막는 장벽이 점점 허물어지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결혼보다 취업을 선호하는 여성 대졸자들의 적극적인 구직 노력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여겨진다.
실제 취업경험에 따른 2012년 졸업자 남녀의 격차 1.5%포인트는 2005년에 비해 3.8%포인트 줄어들었다. 2005년 졸업한 남성의 취업경험율은 73.9%, 여성은 68.6%로 집계됐다.
2005년 조사에서는 수도권 대학 졸업자의 취업경험률(71.5%)이 비수도권 대학 졸업자(71.4%)보다 약간 높았다. 그러나 2012년에는 비수도권대 졸업자의 취업경험률(79%)이 수도권대 졸업자(78.5%)를 앞질렀다.
학벌보다는 능력을 중시하는 채용문화가 확산하면서, 기업들이 예전과 달리 '입사 지원자가 수도권 대학을 다녔느냐'를 덜 고려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다만, 인문계 대졸자들의 취업난은 여전했다. 공학이나 의학 계열은 물론 예체능 계열보다 취업경험률이 더 낮았다.
2005년에는 인문계 졸업자(63.9%)와 예체능계(65.1%) 졸업자의 취업경험률이 큰 차이가 없었다. 반면, 2012년에는 인문계 졸업자(74.3%)가 예체능계(79.3%)보다 상당히 뒤처진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수준이 높은 부모를 둔 대졸자일수록 취업경험률은 더 낮았다. 이에 대해 고용정보원은 부모 경제력을 바탕으로 졸업 후에도 괜찮은 직장에 들어가려고 더 오래 취업 준비를 하기 때문이라고 추정했다.
박가열 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이번 연구로 구직자 능력 이외의 요인들이 취업을 결정했던 관행들이 이제는 점점 사라지고 있음을 확인했다"며 "이러한 흐름이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 지속가능한 채용문화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기업을 비롯한 우리 사회가 능력중심의 공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