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확산에 與 ‘정부 초기대응 미흡’ 비판…野 ‘발생지역·의료기관 공개’ 주문

2015-06-01 16:40
  • 글자크기 설정

대한민국 국회 [조문식 기자 cho@]



아주경제 조문식 기자 =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환자 수가 총 18명으로 늘어난 것과 관련, 여권은 1일 정부 초기대응이 미흡했던 점에 대한 비판 목소리를 높였다.
새누리당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긴급 당정협의를 열고 이 자리에 참석한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 등 정부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메르스가 최근 빠른 확산세를 보인 것과 관련한 정부의 초기대응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 같은 지적은 당정협의 직후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서도 이어졌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국민의 불안감이 날로 확산되고 있으면서 SNS를 중심으로 근거 없는 소문마저 대거 나돌고 있다”며 “보건당국의 허술한 초기대응이, 감염자를 확산시킨 것이 국민의 공포와 불신을 초래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승민 원내대표는 “메르스와 관련해 국민의 불안과 정부에 대한 불신이 매우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며 “이 문제와 관련해 가장 중요한 것은 추가확산을 철저하게 막고, 국민의 불안과 불신을 해소하는 일”이라고 주문했다.

이날 열린 당정협의에 대해 원유철 정책위의장은 “국민의 불안감과 공포감을 자극하는 악의적인 괴담이나 허위사실 유포에 대해서는 철저히 대응하되 보건당국이 정확한 정보를 신속하고 투명하게 전달해 국민 불안과 공포를 해소시킬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해 달라고 촉구했다”고 전했다.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 [남궁진웅 timeid@]



이런 가운데 새정치민주연합은 메르스 발생 지역과 의료기관 등을 국민에게 공개해 해당 지역 주민과 의료인 등이 충분한 경각심을 갖고 대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용익·김성주 의원 등 새정치연합의 국회 보건복지위 소속 의원들은 1일 성명을 내고 “보건당국은 메르스 감염에 대한 정보를 국민에 공개하지 않고 비공개로 메르스 확산방지에 주력했지만, 지난달 20일 첫 환자 발생 이후 12일간 18명의 환자가 발생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보건복지부가 메르스 발생 지역 의료기관들에 대한 일체의 정보를 공개하지 않는 것에 대해 “이미 환자와 접촉한 사람이 많고, 전염력이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된 이상 이런 방식은 오히려 위험한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제시했다.

새정치연합의 보건복지위 소속 의원들은 신종 전염병 발병으로 환자를 진료한 의료기관이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정당한 진료로 발생한 피해를 국가가 보상하도록 해야 한다는 견해도 내놨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