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A 민간대책위원회, 한‧중 FTA 정식서명 환영

2015-06-01 15:00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채명석 기자 = FTA민간대책위원회는 1일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정식 서명을 크게 환영한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이날 발표한 입장문을 통해 “한‧중 FTA는 우리의 최대 교역국인 중국과의 무역 및 투자뿐 아니라 경제협력 확대를 통해 한‧중 경제관계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이같이 전했다.

위원회는 “한‧중 FTA는 중국이 최초로 제조업 강국과 체결한 포괄적 FTA인 만큼 우리 기업들이 중국 시장에서 주요 경쟁국보다 유리한 조건으로 경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단, “한‧중 FTA의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협정의 조기 발효가 절실하다. 중국 시장에서 글로벌 기업들과 경쟁이 더욱 심화되고 중국 기업들의 경쟁력도 빠르게 상승하고 있는 상황에서 FTA 발효가 늦어질수록 그 효과는 감소할 것”이라면서 “향후 국회 비준동의 등 발효를 위한 절차가 조속히 진행될 수 있도록 정부와 국회가 적극적인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위원회는 “FTA의 출발점이 정부간 협상이라고 한다면 그 종착점은 양국 기업의 FTA 활용이다. 정부는 우리 기업들이 한‧중 FTA를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고 체계적인 활용 지원 프로그램과 마케팅 활동을 지원해야 할 것”이라면서 “이와 동시에 양국 기업들이 FTA를 활용하여 상호 윈-윈 할 수 있는 경제협력 모델을 만들어갈 수 있도록 민관이 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한‧중 FTA의 성공적인 이행을 위해서는 적극적인 활용 지원과 함께 피해산업 대책 마련에도 소홀함이 없어야 할 것”이라며 “특히, 중국이 우위를 점하고 있는 노동집약적 제조업과 경쟁해야 하는 중소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한편, 실질적인 경쟁력 강화 방안도 마련해야 할 것이다”고 전했다.

끝으로 위원회는 “우리 경제계는 앞으로 기술개발과 경쟁력 강화를 통해 한‧중 FTA의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시킴으로써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앞장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위원회는 2006년 우리나라의 주요 FTA협상에 대한 업계 의견수렴, 대정부건의, 협상지원, 홍보 등 FTA에 대한 민간차원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대책기구로 출범했다.

위원회는 한국무역협회, 전국경제인연합회, 대한상공회의소, 중소기업중앙회 등 경제 4단체와 은행연합회 등 업종별 단체, 연구기관 등 총 42개 단체·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