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금리인상이 본격화되면 한국의 금리 인상도 불가피한 측면이 크다. 이 경우 가장 우려되는 것은 가계부채 뇌관이 터질 수 있다는 점이다. 아울러 자금유출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다만 일부에서는 미국 금리 인상이 느린 속도로 진행된다면 수출 등 한국 경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옐런 의장은 지난 22일(현지시간) "올해 안 어느 시점에는 연방기금금리 목표치를 높이기 위한 초기 조치에 나서고 통화정책의 정상화 절차를 시작하는 게 적절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문제는 미국금리 ‘9월 인상설’에 다시 힘이 실렸지만 그렇다고 한국은행이 금리를 올리기도, 내리기도 어려운 상황이라는 점이다.
가장 큰 부담은 가계부채다. 이날 이 총재 및 간담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급증하는 가계부채가 거시경제 리스크로 전이할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미국발 금리인상 여파에 가계 부문이 가장 취약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가계신용 통계를 보면 작년 말 현재 가계부채 총량은 1089조원이다. 1년 전보다 가계신용은 67조6000억, 가계대출은 66조4000억원이나 늘었다. 금리 인상은 이자 상환부담 증가로 이어져 현금 흐름이 취약한 한계계층부터 타격을 준다. 정부는 기본적으로 가계부채가 '관리가능한 수준'이라고 평가하지만 부동산경기 활황세와 맞물려 대출 증가 속도가 너무 가파르다는 지적이 많다.
자금 유출도 우려된다. 통상 미국이 금리를 올려 한국과 금리 차이가 좁혀지면 외국인의 자금 유출이 발생한다. 지난해 미국의 양적완화 종료 때와 연초 금리 인상설 확산 당시 브라질·멕시코 등 신흥국 통화들이 급락하기도 했다. 자금유출은 유동성 악화와 함께 내수 침체까지 불러온다.
그러나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린다고 한은도 올리기에는 여전히 국내경기 회복세가 미약하다. 최경환 경제부총리가 이날 금리 추가 인하 필요성을 시사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최 부총리는 "한국은행이 한국개발연구원(KDI) 등 전문가들의 의견을 충분히 참고해 기준금리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미국 금리 인상으로 달러화 강세가 이어지면 한국 수출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 달러화 약세로 일본 업체와의 수출경합도가 악화된 상황에서 달러 강세는 엔저에 따른 피해를 상쇄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특히 옐런 의장이 "금리가 연준이 판단하는 정상적인 수준까지 오르려면 몇 년이 걸릴 것"이라고 밝힌 부분은 국내경제에 긍정적이라는 분석이다. 이창선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미국의 금리인상이 시작되더라도 진행속도가 느리게 진행되는 정도라면 우리나라의 경상수지 흑자, 외환보유액 등의 차별성이 부각될 수 있을 것”이라며 “원화가 달러화 대비 약세로 돌아서더라도 엔화, 유로화 등에 상대적 강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당분간 국내 통화당국 운신의 폭이 커졌다고 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옐런 효과'로 인해 두달만에 1100원대를 상향 돌파했고(달러강세), 코스피는 투자심리가 위축돼 장중 2130선까지 밀리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