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배군득·기수정 기자, 조용성 베이징특파원 = "일본으로 향하는 유커(중국인 관광객)를 잡아라."
유커의 한국 관광이 주춤거리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한국으로부터 발걸음을 돌린 유커 가운데 상당수가 일본으로 향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난 1분기 중 일본을 방문한 유커 수는 92만여명으로 나타났다. 지난 한해 전체동안 일본을 방문한 유커 수가 241만명이었던데 비해 올 한해동안 일본으로 가는 유커는 300만명을 훌쩍 넘어설 것이란 관측이다.
이에 따라 지난 3월 일본을 찾은 중국인은 34만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83.7% 증가했다. 지난 2월에도 방일 유커는 36만명으로 작년 동기보다 1.5배나 늘어났다.
중국 법제만보는 지난해 일본을 방문한 유커가 쓴 돈은 5583억엔(약 5조원)에 달했다고 이날 전했다. 이는 지난해 해외여행객이 일본에서 쓴 돈 2조278억엔(약 19조원)의 27.5%였다. 유커의 일본에서의 1인당 소비액은 23만1700엔(약 215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유커의 소비에 힘입어 일본의 관광수지가 55년만에 흑자로 돌아섰다.
법제만보는 상하이(上海)의 한 여행사의 경우를 예를 들면서, 이 여행사가 올해 일본에 5만명의 단체 여행객을 보낼 계획이라고 전했다. 지난해 일본에 2만명의 관광객을 보내며 막대한 수익을 거뒀었다는 이 여행사의 경영진은 "중국인들의 일본관광 선호 추세는 2020년 도쿄 올림픽까지 지속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중국 관광객 의존도가 일본 보다 훨씬 높다는 점에서 그만큼 유커 유인 대책이 절실한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조사한 지난해 외래관광객 실태조사에 따르면 중국인 관광객의 한국 여행 만족도는 조사대상 16개국 가운데 15위로 2013년보다 한 단계 낮아졌다. 이에 따라 한국 재방문율 또한 20% 정도에 그쳤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관광산업 활성화법은 벌써 3년 가까이 국회에서 잠자고 있다. 업계의 기대감도 점차 줄고 있는 상황”이라며 “정부가 우물쭈물하는 사이 불법 관광과 바가지 요금이 시장을 혼탁하게 만드는데 이를 단속할 만한 장치도 없다”고 토로했다.
정부 한 고위관계자는 "중국 관광객이 줄어들고 있다는 보고는 받았다"면서도 "불법 관광이나 바가지 요금이 유커들에게 좋지 않은 이미지로 남고 있는데 시장에서 자율적인 단속과 감시가 필요하다”는 상투적인 말만 되풀이 했다.
법제만보는 중국인이 일본 여행을 선호하는 이유로 ‘친절한 서비스’, ‘맛있는 음식’, ‘저렴한 가격’ 을 꼽았다. 일본 브랜드의 의류와 잡화를 구매하기 위해 일본을 찾는 유커들도 많아지고 있다.
이에 비해 우리의 경우 유커를 상대로 서울과 제주 등지를 돌며 쇼핑에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관광공사 조사 결과 드러났다.
이에 따라 저가여행 상품을 근절시키고 지자체별 특색을 살린 다양한 여행상품을 개발하는 것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20~30대 유커가 늘면서 이들이 한국 전통문화 소개, 맛집 탐방 등으로 시선을 돌리도록 유도할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