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지역별로 일자리 문제의 양상이 달라 각 지역의 실정에 맞는 맞춤형 일자리 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7일 한국고용정보원이 발간한 '지역별 노동수요와 인력수급 미스매치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실업자 100명 중 62.8명은 인력수급의 불일치 때문에 취업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취업정보사이트 워크넷(www.work.go.kr)에 올라온 구인구직 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따른 것이다.
나머지 20명은 기업이 원하는 기술 숙련도가 너무 낮거나 높은 '구조적 미스매치'로 일자리를 찾는데 실패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인력수급 불일치의 주요 원인은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대전에서는 실업자 100명 중 62.2명이 일자리 자체가 없는 노동수요 부족 탓에 취업을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경남과 제주 지역에서는 노동수요 부족에 의한 실업이 적은 것으로 집계됐다.
광주와 울산, 경남 지역은 정보가 없거나 조건이 안 맞아서 겪는 마찰적 미스매치에 의한 실업의 비중이 다른 원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왔다. 실제 광주(28.8명), 울산(29.9명), 경남(29.8) 지역의 마찰적 미스매치 비중은 20명 이하인 타 지역에 비해 높았다.
아울러 충북(21.9명)과 충남(18.9명), 전남(38.1명)은 구조적 미스매치에에 의한 실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지역은 구직자의 기술 숙련도가 기업이 원하는 수준과 맞지 않는다는 점을 취업의 걸림돌로 응답했다.
보고서는 이처럼 지역별로 실업 원인이 다르다는 점을 감안, 일자리 정책도 실업의 원인에 따라 지역별로 각각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예컨데 대전처럼 노동수요가 부족한 곳은 일자리를 많이 창출해야 하므로 창업을 포함한 산업정책에 비중을 두고, 광주 등 마찰적 미스매치 비중이 큰 지역은 기업과 구직자에게 더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신경을 써야 한다는 주장이다.
또 충북이나 전남처럼 구조적 미스매치의 비중이 높으면 다양한 직업 및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도입해 구직자의 직무능력과 기술을 높이는데 주안점을 둬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진희 고용정보원 고용정보분석센터장은 “지역별로 충원이 필요한 일자리에 적합한 구직자를 연결해주지 못하면 구직난 속 구인난은 계속될 것”이라며 “노동시장의 인력수급 미스매치를 해결하는 것은 지역 경제 경쟁력 제고의 필수 과제”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