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조문식 기자 = 29일 치러진 재보궐선거에서 새정치민주연합이 1석도 건지지 못한 채 참패했다. ‘성완종 리스트’ 파문으로 직격탄을 맞은 여당에 비해 정국 상황이 유리해졌음에도 불구하고 제1야당인 새정치연합 후보들이 무너지면서 문재인호(號)의 운명 또한 격랑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4·29 재보선의 4개 국회의원 선거구 중 새누리당 후보가 3곳에서 당선되고 무소속 후보가 광주에서 당선을 확정지었다. 하지만 새정치연합은 전통적 강세 지역인 광주와 서울 관악을에서도 전패하면서 문재인 체제가 흔들리게 됐다.
이날 개표 초반 이른바 '성완종 악재'로 한때 전패 공포감이 감돌았던 새누리당은 ‘압승’을 선언하며 향후 정국 주도권을 장악하게 됐지만, 새정치연합은 지도부 책임론 등 거센 '후폭풍'에 휩싸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열린우리당 창당 주역으로 정풍운동을 이끈 천정배 후보가 광주에서 무소속으로 ‘화려하게’ 재기에 성공한 것도 향후 당내 분위기 변화를 확인하는 체크 포인트다. 천 당선인은 새정치연합 탈당 이후 ‘호남 정치 복원’을 내걸고 여의도 재입성에 성공했다.
정치권에서는 벌써부터 천 당선인의 승리가 호남 정치지형 변화의 기폭제가 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이에 천 당선인은 새정치연합의 심장에서 ‘야당 심판론’을 관철시키면서 일거에 호남의 맹주로 급부상할 기회를 얻게 됐다.
일각에서는 천 당선인 측을 중심으로 한 야권 내 비(非) 새정치연합 세력이 집결하며 본격적인 야권 재편 움직임이 드러날 것이라는 관측도 고개를 들고 있어 새정치연합에 큰 고민을 안겨주게 됐다.
이처럼 새정치연합은 ‘성완종 사태’라는 선거판 속 이슈를 충분히 살리지 못한 것으로 평가된다. 문 대표가 ‘집권세력의 물타기 시도’를 비판하는 등 나름의 승부수를 던졌지만 정국을 뒤집는 반전의 계기까지는 마련하지 못했고, 결과적으로 여권에 의석을 보태준 꼴이 됐다.
이번 선거에서 새정치연합이 한 곳도 승리하지 못한 가운데 당장 당내에서 문 대표의 퇴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며 내홍에 휩싸일 것으로 전망된다. 당 지도체제의 전면 개혁을 요구하는 세력들이 늘어나 결국 비상지도체제로 전환될 가능성도 엿보인다.
이번 선거 이후 문 대표의 지도력 결핍이 도마 위에 오른 가운데 내년 총선의 공천권을 겨냥한 계파 간 내분이 수면 위로 떠오를 가능성도 커졌다. 특히 주류에서 밀려났던 비주류와 호남의 목소리가 커지고, 집단지도체제로의 전환을 요구하는 사태도 발생할 수 있다.
4·29 재보선의 4개 국회의원 선거구 중 새누리당 후보가 3곳에서 당선되고 무소속 후보가 광주에서 당선을 확정지었다. 하지만 새정치연합은 전통적 강세 지역인 광주와 서울 관악을에서도 전패하면서 문재인 체제가 흔들리게 됐다.
이날 개표 초반 이른바 '성완종 악재'로 한때 전패 공포감이 감돌았던 새누리당은 ‘압승’을 선언하며 향후 정국 주도권을 장악하게 됐지만, 새정치연합은 지도부 책임론 등 거센 '후폭풍'에 휩싸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열린우리당 창당 주역으로 정풍운동을 이끈 천정배 후보가 광주에서 무소속으로 ‘화려하게’ 재기에 성공한 것도 향후 당내 분위기 변화를 확인하는 체크 포인트다. 천 당선인은 새정치연합 탈당 이후 ‘호남 정치 복원’을 내걸고 여의도 재입성에 성공했다.
일각에서는 천 당선인 측을 중심으로 한 야권 내 비(非) 새정치연합 세력이 집결하며 본격적인 야권 재편 움직임이 드러날 것이라는 관측도 고개를 들고 있어 새정치연합에 큰 고민을 안겨주게 됐다.
이처럼 새정치연합은 ‘성완종 사태’라는 선거판 속 이슈를 충분히 살리지 못한 것으로 평가된다. 문 대표가 ‘집권세력의 물타기 시도’를 비판하는 등 나름의 승부수를 던졌지만 정국을 뒤집는 반전의 계기까지는 마련하지 못했고, 결과적으로 여권에 의석을 보태준 꼴이 됐다.
이번 선거에서 새정치연합이 한 곳도 승리하지 못한 가운데 당장 당내에서 문 대표의 퇴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며 내홍에 휩싸일 것으로 전망된다. 당 지도체제의 전면 개혁을 요구하는 세력들이 늘어나 결국 비상지도체제로 전환될 가능성도 엿보인다.
이번 선거 이후 문 대표의 지도력 결핍이 도마 위에 오른 가운데 내년 총선의 공천권을 겨냥한 계파 간 내분이 수면 위로 떠오를 가능성도 커졌다. 특히 주류에서 밀려났던 비주류와 호남의 목소리가 커지고, 집단지도체제로의 전환을 요구하는 사태도 발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