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중국 가공무역 수출비중 ‘日-대만 대비 높아’ 취약

2015-04-26 12:13
  • 글자크기 설정

수출 구조적 불안요인으로 작용

아주경제 양성모 기자 = 중국의 가공무역 제한 조치에도 한국의 대중 가공무역 수출 비중이 경쟁국보다 높아 중국 수출이 불안정한 환경에 노출중인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원장 김극수)은 26일 발표한 ‘중국의 가공무역 수입 변화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2000년대 들어 임금상승, 환경오염 등에 대응해 가공무역 제한조치를 잇따라 시행했고, 그 영향으로 전체 수입중 가공무역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인 2007년 38.5%에서 매년 하락해 작년에는 25.2%까지 떨어졌다.

이러한 추세에 대응해 대만은 가공무역 수출비중이 2007년 68.4%에서 작년 50.1%로 18.2%p 하락했고 일본 또한 동기간 44.3%에서 34.0%로 10.3%p 떨어졌다. 반면 우리나라는 이 기간 동안 54.1%에서 51.9%로 2.2%p 하락한데 그쳤다.

이처럼 지난 7년간 우리나라의 對중국 가공무역 수출이 일본, 대만 등 경쟁국에 비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은 반도체와 전기기기의 가공무역 비중이 소폭 하락에 그쳤고 광학기기와 무선통신기기는 오히려 상승했기 때문이다.

2014년 현재 중국의 가공무역 수입 4,943억 달러 가운데 우리나라는 986억 달러로 2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어 대만이 762억 달러로 15.4%, 일본이 552억 달러로 11.2%를 보이고 있다.

중국이 내수중심 성장, 신산업 육성, 무역 부가가치 향상 등을 추진하고 있어 가공무역 비중은 지속적인 하락이 예상되어 가공무역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의 중국 수출에 구조적인 위협요인으로 작용할 공산이 크다.

오세환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중국의 산업구조 고도화에 대응한 고부가가치 수출상품 개발, 한-중 FTA 활용방안 마련, 전자상거래 채널을 활용한 중국 내수시장 공략 등 對중 수출 확대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