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조문식 기자 = 어린이들이 사용하는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들이 제품안전기본법 위반으로 적발되는 사례가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전하진 의원(새누리당, 성남 분당을)은 20일 “어린이 제품 불법·불량 전수조사 실시 결과 불량제품 생산으로 적발된 업체가 2011년도 33곳에서 2014년도 165곳으로 급격하게 증가했다”고 밝혔다.
전 의원이 국가기술표준원으로부터 제출 받은 어린이 제품 불법·불량제품 조사 및 조치 현황을 보면, 제품안전기본법 위반으로 적발돼 리콜 명령을 받은 업체 수가 2011년 33곳, 2012년 98곳, 2013년 120곳, 2014년 165곳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행정조치로 판매금지를 받은 업체는 2012년 41곳, 2013년 81곳, 2014년 162곳으로 2년 사이 4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대해 전 의원은 “어린이·노약자·장애인 등 안전 취약계층이 사용하는 제품들의 불량품 적발 건수가 꾸준히 증가하는 것은 우리 사회가 아직 안전불감증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한 것”이라며 “업체들의 사후 이력 관리를 철저히 해 과거 위반 경력이 있는 사업자의 행정처분을 강화하고 제품 안전성 확립에 최선을 다하여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전하진 의원(새누리당, 성남 분당을)은 20일 “어린이 제품 불법·불량 전수조사 실시 결과 불량제품 생산으로 적발된 업체가 2011년도 33곳에서 2014년도 165곳으로 급격하게 증가했다”고 밝혔다.
전 의원이 국가기술표준원으로부터 제출 받은 어린이 제품 불법·불량제품 조사 및 조치 현황을 보면, 제품안전기본법 위반으로 적발돼 리콜 명령을 받은 업체 수가 2011년 33곳, 2012년 98곳, 2013년 120곳, 2014년 165곳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전 의원은 “어린이·노약자·장애인 등 안전 취약계층이 사용하는 제품들의 불량품 적발 건수가 꾸준히 증가하는 것은 우리 사회가 아직 안전불감증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한 것”이라며 “업체들의 사후 이력 관리를 철저히 해 과거 위반 경력이 있는 사업자의 행정처분을 강화하고 제품 안전성 확립에 최선을 다하여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