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동부권 공들이기 가속화…李 지사 행보 '주목'

2015-04-12 17:18
  • 글자크기 설정

전남도 동부지역본부 청사 전경[사진=전남도]


아주경제 장봉현 기자 =전남도의 '동부권 공들이기'가 가속화 되고 있다. 민선 6기 들어 동부권 강화를 위해 동부지역출장소를 동부지역본부로 승격한데 이어 도 위임민원도 대폭 확대했다.

12일 전남도에 따르면 전남도 동부지역본부는 기존 26종에서 83종의 도 위임민원을 직접 처리한다. 도 본청 실·과에서 처리하는 민원 중 위임 가능한 것을 최대한 발굴해 57종을 새로 추가하게 됐다.
새로 위임된 업무는 잡지사업, 신문사업, 방문판매업, 다단계업, 담배수입 판매업, 자동차대여업, 지정정비사업자 등 등록민원과 요양보호사, 장례지도사, 안마사 등 자격증 재교부 민원이다. 대상 지역은 여수 순천 광양 곡성 구례 고흥 보성 등 동부권 7개 시·군이다.

동부지역본부에 위임되지 않은 업무라도 민원인이 동부지역본부를 방문해 민원서류를 접수하면, 민원 담당자가 도청에 직접 이송해 처리하고 있다.

지난 2월부터는 찾아가는 민원실도 운영하고 있다. 민원 담당자가 주기적으로 동부권 시군을 직접 방문해 민원을 접수하고 처리하는 수요자 중심의 행정서비스다.

매주 금요일 오후 시·군별 일정에 따라 순회해 운영한다. 대량의 자격증 발급과 같은 다수의 민원 수요가 있으면 시기에 맞게 수시로 지역을 방문해 민원을 처리할 계획이다.

이낙연 지사의 동부권 민심잡기 행보도 주목받고 있다.

이 지사는 지난해 6·4지방선거 과정에서 '1주일에 하루는 동부권에서 근무하겠다'고 공언했었다. 실제 이 지사는 동부지역본부 출범 이후 도청 관련 행사를 동부권에 배정하는 등 최소 일주일에 이틀 이상은 이 지역을 방문하고 있다.

도정 정책자문위원회 등 각종 위원회 회의를 동부권에서 개최하고, 위원 구성 때 동부권 인사도 배려하기로 했다.

또한 이낙연 지사는 동부권이 문화적으로 소외됐다는 지적에 따라 신설될 도립미술관을 전남 동부권에 두겠다고 약속했다. 전남도는 오는 7월까지 기본계획과 위치선정을 마무리하고 오는 2016년 7월쯤 착공할 예정이다.

동부권 주민 소통 강화와 도정 정책제안 등을 위한 정책자문위원회를 운영하는 등 스킨십 행보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동부지역본부는 지난해 12월 홍보, 노인복지, 농수축산, 문화예술, 산업정책, 여성정책, 지역발전, 청년정책 8개 분야 66명으로 정책자문위원회를 구성하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자문위에서 나온 건의 등은 도정에 적극 반영한다는 방침이다.

전남도가 동부권 주민들과 소통을 통한 도정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려고 노력하는 것은 물론 행정 서비스 강화 등 동부권 공들이기가 전방위적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는 것이다. 

전남도청의 남악 이전 이후 동부권에서는 '동부권 홀대'라는 목소리가 끊임없이 제기됐다. 박준영 전 지사 시절에는 정치권을 중심으로 예산 배정에서 서부권 예산 편중에 대해 지적하는 등 동부권 차별 논란이 거셌다. 전남도의 이 같은 행보의 주요 배경이다. 

천제영 전남도 동부지역본부장은 "동부권 껴안기라기보다는 동부지역본부가 실질적인 전남도청 제2청사 기능을 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것"이라며 "행정은 조직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기능이 중요한 만큼 앞으로 더욱 열심히 발로 뛰면서 소통하고 전남의 상생 화합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