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치성 유방암 표적 유전자 세계 최초 발견

2015-03-31 05:00
  • 글자크기 설정

유방암에서 MEL-18 유전자의 소실은 에스트로겐 수용체(Estrogen receptor, ER)의 전사인자 단백질 수모화를 통해서, 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테론 수용체(PR)의 발현 및 활성을 감소시켜 삼중음성 유방암(에스트로겐 수용체,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HER-2 유전자 음성)을 유발한다. 이는 항호르몬 치료 등 기존의 유방암 환자의 항암 치료에 내성을 가져오고, 암의 재발 및 전이를 증가시켜 환자들의 예후에 나쁜 영향을 준다. [그래픽=미래부 제공 ]


아주경제 한준호 기자 = 국내 연구진이 난치성 유방암인 삼중음성 유방암의 발생 및 항 여성 호르몬 치료 내성에 관여하는 새로운 암 유전자를 세계 최초로 발견했다.

삼중음성 유방암은 유방암 환자 중에서 여성 호르몬(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수용체와 HER2 단백질(유방암의 가장 중요한 분자표적)이 없고, 기존의 유방암 표적 치료에 내성을 갖는 난치성 유방암의 일종으로, 항 여성호르몬 치료는 유방암이 지나치게 활성화된 호르몬에 의한 유방암이므로 호르몬 활성을 억제해 유방암 발병 및 재발을 막는 대표적 치료법을 말한다. 
공구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연구팀이 주도한 이번 연구는 미래부의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일반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이뤄졌으며, 연구결과는 의생명과학 분야 세계 최고 학술지인 ‘저널 오브 클리니컬 인베스티게이션(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에 30일 온라인 게재됐다.

대부분의 유방암은 항호르몬 치료를 통해 비교적 쉽게 치료가 가능하지만, 이들의 20-30%는 치료에 대한 내성이 발생한다.

또한 전체 유방암의 15-20%를 차지하는 삼중음성유방암은 항호르몬 요법 등 기존의 유방암 치료법에 내성을 나타내고 암의 재발 및 전이가 빈번하여 치료 후 결과가 좋지 않다. 이러한 난치성 유방암의 발생 및 치료 내성 기전은 정확한 기전 및 치료제 등이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공구 교수 연구팀은 유방암 발생 중 멜에이틴(MEL-18) 유전자의 소실이 여성 호르몬 수용체를 감소시켜 삼중음성 유방암을 유발하고, 항호르몬 치료에 대한 내성의 주요 원인임을 새롭게 밝혔다. 기전으로 MEL-18 유전자가 에스트로겐 수용체 전사인자들의 단백질 수모화를 통해 에스트로겐 수용체 유전자의 발현 및 활성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임을 증명했다.

또한 연구팀은 대부분의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들이 MEL-18 유전자가 소실되어 있고, 이는 유방암 환자의 예후 및 치료에 주된 유전자임을 확인했다. 

MEL-18을 발현하는 유방암 환자들의 10년 간 생존율은 98%에 가깝고 치료 후 3년 이내 암 재발 확률도 5% 이내로 매우 낮은 양상을 보이는 반면, MEL-18 유전자가 소실된 환자는 항호르몬 치료에도 불구하고 10년 간 생존율이 60%에 불과하였고, 재발률이 30%에 도달했다.

한편 연구진은 동물실험에서 삼중음성 유방암에 MEL-18 유전자를 증가시키면 항호르몬 약제 타목시펜(tamoxifen)에 대해 항암 효과를 나타난다는 것을 증명했으며, 이는 MEL-18 유전자를 통한 삼중음성 유방암의 치료 가능성을 보여 준 것으로 평가된다. 

공구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난치성인 유방암인 삼중 음성 유방암 및 항호르몬 치료 내성에 대한 진단 및 표적 치료에 MEL-18 유전자가 표적 유전자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 MEL-18 유전자의 유방암 진단 및 치료기술에 관해 특허출원을 한 상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