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동욱 기자 =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29일 미국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 문제와 관련해 "우리가 (미국의) 눈치 볼 사안도, 그럴 이유도, 그럴 상황도 아니다"면서 "(앞으로) 미국의 요청이 있다고 가정하면 국방부가 군사기술적 측면을 아주 세밀하고 면밀히 검토할 것이며 그 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중심으로 종합적 판단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 장관은 이날 방영된 KBS '일요진단' 프로그램에 출연해 이같이 밝히고 중국의 사드에 대한 입장과 관련해서는 "이 단계에서 중국 측의 (반대) 강도가 높다, 낮다고 말하기보다는 중국이 민감성을 갖고 여러 계기에 얘기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하겠다"면서 "이런 것이 본격적으로 전개되면 이 문제에 대해서 중국이든 러시아든 오해가 있는 나라에 대해서 설명을 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우리의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참여에 미국이 부정적 인식을 보였던 것과 관련, "우리가 미국의 입장을 너무 의식한 것은 사실이 아니고 국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최적의 타이밍이 언제냐, 이런 차원에서 접근했다"면서 "미국 등 여타 이해국도 우리가 기다려준 데 대해 상당히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우리가 AIIB에서 부총재나 상임 이사를 맡는 문제에 대해 "설립 협정에서 논의될 문제로 국내총생산(GDP)에 상응하는 지위와 권한을 확보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갖고 그런 것을 해낼 수 있다는 역량이 있다고 본다"면서 "우선순위를 두고 협상을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본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의 내달 미국 의회 연설과 8월 아베 담화 발표와 관련해서는 "이런 올해 두 차례의 계기가 일본에 하나의 시험대가 아닌가 하며 만약 이런 기회를 놓치게 되면 그것은 일본 리더십에 큰 손상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윤 장관은 "역사인식 문제는 한국 정부만의 관심사는 아니며 국제사회에서도 일본이 과거 독일지도자들이 했던 것처럼 분명한 태도를 보였으면 좋겠다는 컨센서스가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아베 총리의 미국 상·하원 합동연설에 대해 "연설이 성사되지 않게 하는 것이 우리 외교 목표가 아니다"면서 "이런 계기에 분명한 역사인식을 표명해서 한국만이 아니라 국제사회에 일본의 새 지도자의 면모를 보여주고 새로운 일본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는 인식을 주고 이를 통해 아시아와 세계에 기여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호기로 삼기를 진심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윤 장관은 한일 정상회담과 관련, "대화 자체를 위한 대화보다는 한 발이라도 나아가는 진전된 회담이 돼야 한다는 생각"이라면서 "다양한 채널로 역사문제를 포함한 현안에서 진전을 보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한일 정상회담 조건 문제에 대해서는 "우리가 어떤 생각을 가졌는지 사실 일본 정부도 대충은 알고 있을 것"이라면서 "일본 정부가 중요한 계기에 양자 협의차원서 얼마든지 우리 생각에 맞는 제안이나 구상을 던질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역사 문제에 집착한다든가 하는 인상을 줄 필요는 없다"면서 "양국간 중요한 문제와 (역사문제는) 분리해 나가면서, 그러나 과거 일본 지도자가 취했던 역사인식에서 후퇴하는 것은 있어선 안 된다는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러시아가 5월 개최하는 '제2차 세계대전 승전 70주년 기념행사'에 북한 김정은의 참석 가능성에 대해 "전체적으로는 참석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생각한다"면서도 "김정은 참석 여부가 우리 정상의 참석 여부를 판단하는 데 주요 고려사항은 아니며 그보다는 빡빡한 외교 일정, 국제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이날 방영된 KBS '일요진단' 프로그램에 출연해 이같이 밝히고 중국의 사드에 대한 입장과 관련해서는 "이 단계에서 중국 측의 (반대) 강도가 높다, 낮다고 말하기보다는 중국이 민감성을 갖고 여러 계기에 얘기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하겠다"면서 "이런 것이 본격적으로 전개되면 이 문제에 대해서 중국이든 러시아든 오해가 있는 나라에 대해서 설명을 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우리의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참여에 미국이 부정적 인식을 보였던 것과 관련, "우리가 미국의 입장을 너무 의식한 것은 사실이 아니고 국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최적의 타이밍이 언제냐, 이런 차원에서 접근했다"면서 "미국 등 여타 이해국도 우리가 기다려준 데 대해 상당히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우리가 AIIB에서 부총재나 상임 이사를 맡는 문제에 대해 "설립 협정에서 논의될 문제로 국내총생산(GDP)에 상응하는 지위와 권한을 확보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갖고 그런 것을 해낼 수 있다는 역량이 있다고 본다"면서 "우선순위를 두고 협상을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 장관은 "역사인식 문제는 한국 정부만의 관심사는 아니며 국제사회에서도 일본이 과거 독일지도자들이 했던 것처럼 분명한 태도를 보였으면 좋겠다는 컨센서스가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아베 총리의 미국 상·하원 합동연설에 대해 "연설이 성사되지 않게 하는 것이 우리 외교 목표가 아니다"면서 "이런 계기에 분명한 역사인식을 표명해서 한국만이 아니라 국제사회에 일본의 새 지도자의 면모를 보여주고 새로운 일본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는 인식을 주고 이를 통해 아시아와 세계에 기여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호기로 삼기를 진심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윤 장관은 한일 정상회담과 관련, "대화 자체를 위한 대화보다는 한 발이라도 나아가는 진전된 회담이 돼야 한다는 생각"이라면서 "다양한 채널로 역사문제를 포함한 현안에서 진전을 보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한일 정상회담 조건 문제에 대해서는 "우리가 어떤 생각을 가졌는지 사실 일본 정부도 대충은 알고 있을 것"이라면서 "일본 정부가 중요한 계기에 양자 협의차원서 얼마든지 우리 생각에 맞는 제안이나 구상을 던질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역사 문제에 집착한다든가 하는 인상을 줄 필요는 없다"면서 "양국간 중요한 문제와 (역사문제는) 분리해 나가면서, 그러나 과거 일본 지도자가 취했던 역사인식에서 후퇴하는 것은 있어선 안 된다는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러시아가 5월 개최하는 '제2차 세계대전 승전 70주년 기념행사'에 북한 김정은의 참석 가능성에 대해 "전체적으로는 참석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생각한다"면서도 "김정은 참석 여부가 우리 정상의 참석 여부를 판단하는 데 주요 고려사항은 아니며 그보다는 빡빡한 외교 일정, 국제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