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기고] AIIB, 유라시아 역사를 새로 쓴다

2015-03-27 16:46
  • 글자크기 설정
 

[최대원 국립중국해양대 교수(전 한국국제통상학회장)]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의 서막이 서서히 열리고 있다. 현재까지 30여개국이 참여를 선언했는데, 이중 유럽의 금융중심국가들인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의 참여 결정은 유라시아 시대가 새롭게 열리고 있음을 알리고 있다. 바로 작년까지만 해도, AIIB의 태동에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던 유럽이 왜 갑자기 참여를 선언했을까? 미국은 왜 국제통화기금(IMF)이나 세계은행(World Bank)의 수장으로 하여금 AIIB와의 공조 체제를 모색할 것을 요구했을까? 

AIIB는 토종 아시아산 개발금융(Development Finance Made in Asia)이라는 점에서, 역사적으로 의미가 있다. 500년전 1453년 오스만 제국의 콘스탄티노플 점령은 비잔틴시대의 종말을 알리고 있었으나, 대륙으로의 무역로가 차단된 서구 유럽은 결국 아시아로의 우회전략을 취하게 되었고, 이는 곧 서세동점의 아이러니한 역사를 낳게 한다.

서세동점의 핵심인 시장, 자본, 혁신의 3박자는 산업혁명을 일으켰고, 산업혁명은 서세동점을 재생산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산업자본은 금융자본을 낳고, 금융자본은 파생자본을 낳고, 파생자본은 결국 산업의 고리에서 벗어나 서브프라임위기로 알려진 글로벌 금융위기를 낳는다. 눈깜짝할 이 500년 사이 포르투갈, 스페인, 네델란드, 런던, 뉴욕으로 자본중심은 이동하고, 2008년 금융위기를 끝으로 월가는 화려했던 500년 역사의 마지막 생존하는 보증인(Underwriter)으로 남게 된다.

동서남북을 풍미했던 몽고의 원나라는 금융자본의 세계화가 아닌 개발자본 세계화의 선구자에 가깝다. 이점에서 중국이 주도하는 AIIB는 글로벌 개발자본의 현대판이라 할 수 있다. IMF의 특별인출권(SDR) 편입을 서두로 위안화의 국제화가 충족될 때는 아사아금융자본의 글로벌화가 가속화 될 전망이다.

유럽이 AIIB에 몸을 굽히며 들어오는 이유는 바로 이 개발자본과 금융자본의 연결고리에서 생기는 줄기세포를 잡겠다는 의도다. 실제로 중국은 AIIB의 절대지분과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겠다는 미끼를 던졌고, 이는 유럽국가들이 줄지어 입성할 수 있는 황금빛 주단을 깔아준 것이다. 이로써 지난 500년 동안 막혀있던 비단길은 다시 열리게 되고, 유라시아는 50개 언어로 '별에서 온 그대(來自星星的你)'를 외치며 새로이 태어나게 된다.

영국, 독일뿐 아니라 미국은 금융산업이 국가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 서세동점이 끝났다고 해서, 금융산업의 보따리끈을 중국에게 풀어줄 이유도 여유도 없는 것이다. 미국은 어떠한 형태로든 AIIB에 참여할 것이고, 미국의 바지끈을 잡고 있는 일본도 마지 못한 척 참여할 것이다.

AIIB의 금융무대는 이제 트로이의 목마가 들어온 '자금성(資金城)' 내부로 바뀌게 된다. 여기에 최종 도착지를 알리는 두 주자가 있다. AIIB의 대표적 수혜자가 될 수 있는 이들은 바로 한국과 북한이다. 두 나라는 AIIB의 맨 마지막 깃발을 들고 결승점에 여유있게 골인 할 것이다.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위해 다양하고 풍부한 다자개발금융처럼 절실한 것은 없다. 어쩌면 AIIB는 지난 50년의 한반도 역사를, 지난 500년의 유라시아 역사를 새로 쓰게될 최초의 신인류 지침서인지도 모른다. 그래서 A로 시작하나보다. AIIB! 그 화려한 막이 열리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