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간 바이오분야 정부계획이 기술 위주로 수립돼 연구개발(R&D)에서 산업으로 연계성이 분명하지 않았던 만큼, 이번 전략은 부처 공동 목표를 설정하고 단계별로 정부 지원전략을 달리해 추진 방식에 있어 변화를 추구했다.
미래부는 17일 '바이오헬스 미래 신산업 육성 전략'을 수립하고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시장 선점 전략을 발표했다.
이진규 미래부 연구개발정책관은 "태동기 바이오의약품 분야는 아직 시장의 절대 강자가 부재해 최초 제품을 출시한 기업이 해당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분야"라며 "현시점을 골든타임으로 보고 기술개발부터 글로벌 임상, 생산·수출에 이르는 전 주기에 걸쳐 올해 총 3400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미래부는 민간의 수요를 바탕으로 기업이 희망하는 아이템을 발굴, 기술개발-임상-인허가-수출 등 종합패키지로 지원하는 신규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다부처 연계 지원을 통한 암·관절염·척수손상 등 난치질환에 대한 줄기세포와 유전자치료제 R&D에 올해 180억원, 2017년까지 500억원이 투입된다.
정부-민간 공동 펀드 규모도 작년 775억원에서 올해 1105억원까지 늘려 글로벌 임상지원을 확대하고 해외 인허가를 신속히 지원한다. (재)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의 첨단 바이오의약품 해외 임상 지원을 확대하고 미국 FDA 임상·인허가 획득 표준 모델 마련 및 신흥국 중심의 ‘자동승인’ 대상국 추가 확보에 힘쓸 계획이다.
특히 미래부는 의과학 전공의 의대생이 중개연구 책임자로 성장하기까지 생애 전 주기에 걸쳐 지원 및 취업 연계형 연구인턴제를 도입해 2017년까지 연구 역량을 갖춘 의사 2000명을 확보한다. 또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신기술분야에 대한 일자리 실태조사를 해 산·학·연 연계 현장형 교육을 실시, 바이오인포매틱스(생명공학기술과 정보기술의 융합 영역) 등 새로운 분야에 대한 취업 연계형 인력을 양성한다.
정부는 컨트롤타워(복지부)를 중심으로 기업의 해외진출도 전방위로 지원한다.
'Virtual 수출지원센터'를 설치해 기업 건의사항 수렴 창구를 일원화하고 현지 시장, 임상·인허가 규제, 약가 정보 등 현지진출 종합정보를 제공하고 1:1 멘토링을 통해 현지 안착을 도운다. 아울러 창조경제혁신센터(충북, LG) 중심으로 공동개발·공동홍보 등 추진해 대·중소기업 협력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바이오 미래전략은 향후 실무점검단을 통해 각 부처의 전략 이행 여부를 공동 점검하고, 점검 결과를 '역동적 혁신경제 협업 테스크포스(TF)'에 상정해 분기별로 관리하는 등 강도 높게 이행 점검을 할 예정이다.
TF를 이끌고 있는 이석준 미래부 차관은 “바이오 미래전략은 박근혜 정부의 협업취지를 살린 전략"이라며 "이번 의약품분야를 시작으로 의료기기·서비스 분야까지 연내 차례로 바이오산업 육성전략을 마련해 강도높게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