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용직과 임시직을 모두 포함한 근로자의 지난해 실질임금 상승률 역시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인 1%대 초반으로 떨어졌다.
이에 전문가들은 '소득없는 성장과 고용'이 심화되고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지난해 경제가 3% 넘게 성장하고 일자리가 12년만에 가장 많이 늘었지만, 오히려 실질임금은 줄거나 소폭 증가했기 때문이다. 1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임시직 근로자 실질임금은 월평균 127만2000원으로 전년대비 0.5% 감소했다. 임시직 근로자의 실질임금이 작년대비 줄어든 것은 2010년의 -4.4% 이후 처음이다.
임시직과 상용직을 포함한 전체 근로자의 지난해 1인당 실질임금도 월평균 292만6000원으로 1.3% 오르는데 그쳤다. 이는 2011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의 임금 상승률에 해당한다.
상용직의 지난해 월평균 실질임금은 309만8천원으로 전년보다 1.1% 늘었다. 2011년(-4.7%)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이다. 상용직은 정규직과 고용기간 1년 이상 비정규직을 포함한다.
통계청의 가계동향 자료에서도 전국 2인 이상 가구 근로자가구의 근로소득 연간 증가율은 2.9%로 2년 연속 하락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세계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0.2%)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고용부는 이처럼 실질임금 증가세가 둔화한 원인으로 장년·고령 취업자와 질 낮은 일자리가 늘어난데 따른 것으로 분석했다.
실제 지난해 새로 생긴 일자리 53만3000개 중 43만9000개(82.4%)가 50세 이상 연령층에게 돌아갔다. 이들 연령층 신규 취업자의 임금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고, 고령자들의 구직 수요가 많다는 점이 임금 상승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분석이다.
또 지난해에 임금 근로자 중 고용 안정성이 높은 상용직이 44만3000명 늘어나 고용 증가세를 주도했지만, 2012년과 2013년 감소했던 임시직도 전년보다 14만명 늘어나면서 증가세로 돌아섰다.
전문가들은 실질임금 증가율이 계속해서 실질 경제성장률에 미치지 못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최근 6년간 연도별 실질 경제성장률은 2009년 0.7%, 2010년 6.5%, 2011년 3.7%, 2012년 2.3%, 2013년 3.0%, 2014년 3.3%였다.
이 기간에 실질임금 증가율이 경제성장률을 웃돈 때는 2012년 한 번에 그쳤으며, 연평균 실질임금 상승률도 1.3%로 연평균 경제성장률 3.3%에 불과했다.
경제성장률을 밑도는 실질 임금증가율로 근로와 가계소득이 늘지 않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대목이다. 가계 소득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임금이 정체되거나 감소할 경우 소비 위축→기업의 투자와 고용 감소→가계의 소득 부진→경제 둔화 등 악순환이 반복되기 때문이다.
한 민간 경제연구원은 "최근 최근 국제통화기금(IMF),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세계경제포럼(WEF) 등도 소득주도(임금주도) 성장 정책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있다"면서 "정부는 가계소득이 증가하는 방안의 고용의 질적 증대에 신경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