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혁신위 활동종료, 결국 ‘용두사미’…김문수 訪美

2015-02-16 08:30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석유선 기자= 새누리당 보수혁신위원회(위원장 김문수)가 사실상 활동을 종료하고, 김 위원장은 오늘(16일) 미국으로 출국한다.

김문수 전 경기지사의 영입으로 화려했던 시작과 달리 이완구 총리 후보자 인준 파행으로 정국이 요동치며 마지막 회의는 외부에 알려지지도 않은 채 마무리돼 ‘용두사미’에 그쳤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김문수 새누리당 보수혁신위원장은 16일 미국으로 출국한다. 당 안팎의 기대를 모았던 혁신위는 6개월간 출판기념회 금지, 무회의 무세비 등 의 혁신안을 내세우고 사실상 활동을 종료하게 됐다.[사진=남궁진웅 기자 timeid@]


혁신위 관계자는 15일 "지난 9일 사실상 마지막 회의를 열어 앞으로 일정을 논의했다"며 "원래 계획인 2월까지 안건을 논의하고 3월에는 의총 추인 등 일정을 추진할 것"이라고 전했다.

당초 김문수 위원장과 나경원 공천·선거개혁소위원장은 지난 12일 최고위원회의에 최종 혁신안을 보고할 예정이었지만, 당의 이완구 후보자 인준 표결처리 전략에 밀려 보고 일정은 아직 잡지 못한 것으로 전해진다.

김 위원장은 16일부터 다음 달 4일까지 미국을 방문, 워싱턴에서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와 북한인권위원회 주최로 열리는 북한인권 토론회에 참석할 예정이어서 최고위 보고는 다음 달 이후나 가능할 전망이다.

최고위 인준을 거쳐 의원총회 추인까지 받으면 혁신위 활동은 공식 종료한다.

혁신위는 '보수혁신'을 내세워 당권을 거머쥔 김무성 대표가 취임 직후 가장 먼저 공들여 구성, 6개월 한시 조직으로 지난 9월 18일 공식 출범했다.

김 대표와 함께 여권 유력 대권주자로 거론되는 김문수 전 경기지사가 삼고초려 끝에 위원장직을 수락, 비주류 '문무연대' 타이틀이 붙어 시작과 동시에 이목이 집중되기도 했다.

그러나 당 안팎에선 의욕적이었던 시작과 비교하면 혁신위 활동이 결국 '용두사미'에 그친 게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물론 '출판 기념회 금지', '무회의 무세비' 원칙 적용 등 국회의원 특권 내려놓기와 관련한 1차 혁신안 관련 법안을 이미 발의했고, 공천제도에 있어서도 '완전 국민경선제(오픈 프라이머리)' 도입 원칙을 세웠지만 말 그대로 당을 뚜렷하게 혁신했다 할 만한 성과를 내지 못했다는 것이다.

더구나 대다수 혁신안이 아직 상임위 문턱도 넘지 못하면서 사실상 뚜렷한 성과물을 내지 못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