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흥 철강도시로 성장세를 이어오던 당진지역이 철강업황 부진과 수도권 규제완화, 부동산 가격 상승 등으로 속앓이를 하고 있다. 1990년대 후반 지역경제를 이끌던 한보철강 부도와 IMF대란 등으로 한차례 홍역을 앓았던 당진시는 지역경제 성장을 위해 모든 행정력을 집중해 정면돌파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글로벌 경기 둔화에 대응하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당진시는 2000년대 중반 현대제철 일관제철소 준공과 동국제강, 동부제철 등 철강업체들이 잇달아 공장을 건설하며 국제적인 철강도시로 발돋움했다.
당시 시 정부는 ‘현대제철팀’을 신설·운영하며 행정력을 집중해 현대제철 당진공장의 성공적 건설을 이끌어 내는 쾌거를 이뤄낸 바 있다.
하지만 최근 철강업황 악화로 외적 성장세와 달리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우선 지역경제를 이끌고 있는 철강업체들이 중국산 철강재 유입 등으로 직격탄을 맞고 있다.
철강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철강수입은 전년 대비 17.3% 증가한 2274만t로, 실수요 물량의 41%에 이르는 수치다. 특히 중국산 철강재 수입은 전년비 34.9%가 급증한 1340만t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3고로 가동과 냉연사업본부 합병 등으로 높은 수익성을 나타내는 현대제철은 그나마 사정이 나은편이다. 반면 동국제강과 동부제철은 수익성이 크게 훼손됐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등에 따르면 동국제강은 지난해 200여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채권단 관리를 받는 동부제철의 경우 수익성 악화 등으로 당진 전기로 열연공장은 지난해 말을 기준으로 가동이 중단된 상태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수도권 규제완화바람이 불어 당진시 발전을 가로막고 있다.
최근 정부는 ‘규제 기요틴(단두대) 민관합동회의’를 필두로, 수도권 지역에 대규모 투자를 유도하는 ‘제7차 투자활성화 대책’을 발표하는 등 수도권 규제완화에 나서고 있다.
특히 ▲수도권 유턴기업에 대한 재정지원과 항만 및 공항 배후지 개발제한 완화 ▲자연보전권역내 공장 신증설 규제 완화 ▲경제자유구역내 국내기업 ‘공장총량제’적용 배제 등으로 당진시 진출 예정 기업의 수도권 잔류를 이끌고 있다. 시 정부 입장에서 가장 곤혹스러운 상황에 빠진 것이다.
이에 더해 도시의 급속발전에 따른 투기성 자금유입과 토지가격 급등, 물가상승 등도 수도권 기업 등도 기업이전을 가로막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