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11/05/20141105101926768954.jpg)
'꿈의숲 SK뷰' 조감도.[이미지=SK건설]
10월 기준 KB국민은행 조사를 보면 전국 아파트 매매가 대비 전세가격의 비율은 69.4%로 조사됐다. 매매가격 3억원인 아파트라면 전셋값이 2억1000만원인 셈이다. 최근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집주인들의 전세를 월세로 전환하는 등 전세매물이 부족해지는 것도 전셋값 상승세를 부채질하고 있다.
올 3분기 전국 미분양은 3만9168가구로 2분기보다 약 1만1000가구(22.1%) 줄었다. 서울·수도권에서만 1만200여가구가 줄어 이 지역 전세난이 미분양 감소세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전국 미분양 중 중소형은 대부분 팔려나갔으며 인기가 시들했던 중대형도 감소 추세다. 즉시 입주 가능한 준공후 미분양도 인기를 얻고 있다.
대우건설이 잠실 지역에 선보인 ‘잠실 푸르지오 월드마크’는 3.3㎡당 2000만원대 초반으로 낮지 않은 금액임에도 미분양이 속속 팔리고 있다. 8월까지는 한 달에 2~3건 가량 계약됐지만 9월에는 4배로 늘었고 현재는 마감을 앞두고 있는 상황이다.
경기도 고양시에서 지난해 입주를 시작한 대우건설의 ‘일산 푸르지오’는 9.1대책 9월 계약률이 치솟다가 10월 분양을 완료했다. 이 아파트 분양가는 3.3㎡당 900만원대부터로 서울 전셋값 상승폭이 커지면서 전셋값 수준인 분양가가 메리트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11/05/20141105101957996970.jpg)
'청라 더샵 레이크파크' 전경.[사진=포스코건설 제공]
부동산 전문가들은 2년마다 오르는 전세금 마련에 따른 부담을 갖는 대신 저금리로 적절한 대출을 통해 내 집 마련을 하기에 적기여서 앞으로도 미분양 감소세는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