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김태원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0년 이후 자동차 급발진 의심 신고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로부터 접수된 자동차 급발진 의심신고는 지난 2010년 28건에서 2011년 34건, 2012년 136건, 2013년 139건으로 해마다 증가했다.
올해는 지난 8월까지 80건으로 지난 5년동안 총 417건의 급발진 의심 신고가 국토부에 접수됐다.
이어 SM5 LPG와 그랜져가 각각 22건, SM3와 SM5가 각각 18건으로 뒤를 이었다.
수입차 중에는 독일의 BMW가 15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일본 도요타가 12건, 독일 메르세데스-벤츠가 9건이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토교통부나 당사자인 국내 완성차업체에서는 "명확한 원인 규명이 되지 않았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국내 완성차 업계 관계자는 "아직까지 명확한 이유가 발견되지 않았다"며 "급발진 관련 책임을 묻기 전에 우선 명확한 원인이 규명되는 것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국토부 역시 실험 등을 통해 "현재 기술수준으로는 급발진 현상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급발진 원인 규명에 대한 문제 제기는 꾸준히 늘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자동차급발진연구회를 통해 급발진 책임문제를 밝힐 수 있는 '차량사고기록장치'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며 "완성차 업체에서 전문기술을 통해 개발한다면 1~2개월이면 만들 수 있는 장치"라고 주장했다.
김 교수의 주장에 따르면 기존 사고기록창치(EDR)가 에어백이 작동 돼야만 기록되고, 어떠한 기록으로도 운전자의 잘못이 아니라는 증거를 확보할 수 없는 반면 김 교수 측이 개발한 장치는 기존 OBD-Ⅱ 단자에 연결하기만 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OBD-Ⅱ는 최근 환경규제에 따라 자동차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등을 측정하기 위해 자동차 운전 기록을 남기는 장치다.
김태원 의원은 "급발진 의심신고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운전자 불안도 덩달아 커지고 있다"며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급발진 조사를 하는 등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