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채명석 기자 = 독일의 제조업 경쟁력은 현재도 세계 정상급이다.
독일 제조업은 유럽지역 총 제조업 부가가치의 30%를 차지하고, 자국 내에서도 2012년 기술 국가 총 부가가치의 22.4%에 달하며, 고용 부문에서 직접 고용 727만명, 간접고용 710만명으로 전체 고용의 35%를 차지하는 국가경제의 중추다.
하지만 이러한 독일도 현재의 자국 제조업 경쟁력이 먼 미래까지 지속될 수는 없을 것이라는 위기감을 떨쳐내지 못하고 있다. 신흥국의 원가경쟁력을 통한 추격, 선진국의 기술추격과 더불어 낮은 출산률 고령화 등으로 생산인구가 감소하는 추세와 더불어 40.1%에 불과한 에너지 자급률은 미국과 일본에 비해 절반도 안 되지만 제조업 비중이 높아 최종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5위를 기록중이다. 이런 현실을 극복하고 제조업 주도권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와는 다른 제조업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봤으며, 이렇게 해서 지향하는 목표로 설정한 것이 바로 ‘인더스트리 4.0’이다.
박형근 포스코경영연구소(POSRI) 수석 연구원은 독일 인공지능연구소장, 지멘스 등 전문가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독일에서 인더스트리 4.0이 본격화 되는 시기는 오는 2020년경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독일 국가과학위원회는 인더스트리 4.0이 독일 제조업이 처한 대내외 과제를 해결해 줌으로써 제조업 생산성이 30% 향상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미 세계 최고의 생산성을 자랑하는 독일 제조업이 30% 이상 더 높은 경쟁력을 갖게 된다면 선진국은 물론 신흥국의 추격을 따돌리고 한 단계 높은 위상에 도달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소비자 개개인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만족하고 △생산체제의 유연성을 갖게 되며 △최적화된 의사결정 체제가 자리잡고 △자원의 생산성을 높여 효율성을 극대화 하고 △새로운 서비스를 통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얻는 한편 △숙련공 부족과 작업장내 인력의 다양성 등 변화에 대처할 수 있으며 △제조업 종사자들은 일과 생활의 균형을 맞춰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어 △궁극적으로 고임금 경제인 독일이 계속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독일은 ‘인더스트리 4.0’을 단순히 자국 제조업에 적용하는 것을 넘어, 이를 표준화·시스템화해 이를 해외에 수출한다는 전략도 세워놨다. 정보통신산업진흥원에 따르면 독일은 산업생산에서 인더스트리 4.0으로 일대 전환을 일으키기 위해 ‘선도시장’과 ‘선도 공급자’라는 이중 전략을 채택했다.
선도시장은 독일 내수 제조산업 그 자체로 인더스트리 4.0의 선도시장이며, 이 시장을 자리잡게 해 독일 제조업의 질적 도약과 혁신을 견인해 나간다는 것이다. 선도공급자는 인더스트리 4.0을 구현하는 장비 공급 산업의 관점에서 기업들이 이 솔루션을 가지고 세계시장을 점유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이를 위해 독일 정부와 기업들은 인더스트리 4.0을 위한 사물인터넷 통신 표준과 스마트 메모리, 생산기기 연결 소켓, 소프트웨어 등 관려 기술을 표준화 하는 작업을 진행중이다. 이것은 글로벌 표준이 아닌, 산업계에서 암묵적으로 동의한 ‘사실상의 표준’만 되더라도 그 영향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